해양플랜트 적자 떠안은 빅3 조선소
해양플랜트 적자 떠안은 빅3 조선소
  • 홍민아 기자
  • 승인 2015.08.17 10:11
  • 수정 0000.00.0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 2분기에만 총 4조 7천억원 규모 적자 발표
해양플랜트 기술부족이 원인으로 지적돼

국내 빅3 조선소가 올해 2분기 실적에서 총 4조 7천억 원 규모의 손실을 입었다고 발표했다. 현대중공업 1,710억 원, 삼성중공업 약 1억 5천억 원, 가장 큰 손실을 입은 대우조선해양은 약 3조 300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조선산업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의 원인으로 해양플랜트 건조 경험의 부족과 주요 부품을 수입에 의존하는 구조를 지적했다. 설계 및 건조 과정에서 발주처의 수정요구가 많아지면서 공사기간이 늘어났고, 해양플랜트에 필요한 주요 부품들은 해외에서 수입해야 했기 때문에 수주 금액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을 해양플랜트 건조에 쏟아 부어야 했다. 해양플랜트 부품 국산화 비중은 20%에 불과하다.

해양플랜트 산업 육성 시 부품 국산화를 위한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이 있었다. 대형 조선소에 부품을 납품하는 중소기업 해양플랜트 부품 개발 지원을 담당했던 한 공무원은 “해양플랜트 부품 개발 자체가 고비용, 고급 인력을 필요하기 때문에 중소기업에서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이 있고, 해양플랜트를 발주하는 의뢰처에서는 국제적으로 품질을 인정받고 있는 회사의 부품을 자신들이 주문한 해양 플랜트에 사용하기를 원하는 경향이 있다”며 해양플랜트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부품 국산화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그리고 국내 조선소들의 해양플랜트 설계 및 건조 경험 부족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해양플랜트 산업이 활성화될 당시 급격하게 늘어난 해양 부문 사내하청 인력 활용을 살펴봐야 한다고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금속노조는 ‘조선산업 및 조선소 노동현안 주요쟁점과 대책’ 이슈페이퍼에서 “2000년대 중후반부터 해양플랜트 물량이 늘어나면서 해양 부문에서 사내하청 인력 활용이 급증하는 양상을 보여 왔는데, 해양 부문에서 일하는 생산직 열 명 중 아홉 명은 사내하청 인력”이라는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해양플랜트 물량이 급증했지만 고용유연성을 함께 가져가기 위해서 정규직 인력보다 사내하청 인력들을 훨씬 더 많이 고용함으로서,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는 해양플랜트 분야에서 기술 및 품질 관리에 사실상 실패했다는 지적이다.

금속노조 박향주 정책국장은 “2008년 이후 중형조선소들의 인적 구조조정이 대규모로 단행 됐고, 그 인원들이 대형조선소의 사내 하청으로 많이 유입됐다. 해양플랜트 적자 문제가 대두되고 조직 슬림화로 이어진다면 해양플랜트 사내하청, 협력업체에서 먼저 구조조정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한다. 그 인원들이 다시 쫓겨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전했다. 그리고 “이미 중형조선소들은 지난 수 년 동안 구조조정을 통해 회사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인원들만 남겨둔 상태라서 대형조선소 사태에 큰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내년에도 조선산업의 불황이 이어지면 경영이 어려워지는 곳들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7월말 대규모 적자를 발표한 조선 3사는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삼성중공업은 거제도에서 임원 회의를 통해 현재 공기가 지연되고 있는 프로젝트를 다시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조선, 해양사업과 무관한 자회사를 매각하고, 서울 본사 사옥을 포함한 비핵심 자산을 정리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지난해 3조 2척억 원의 적자를 기록한 현대중공업은 이미 올 초 1,000여 명 이상의 일반직 구조조정을 단행한 바 있다. 현대중공업의 적자 수준은 3사중 가장 적으나 남아 있는 해양플랜트 물량을 고려하면 추가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인력 감축에 대해서는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이 임원급 이상에 대한 구조조정 진행 계획을 발표한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자산이나 자회사 매각이 단기간에 이뤄지지는 않을 것임으로 가장 손쉬운 인력 감축 계획이 우선 되지 않겠냐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