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 후,어디로 갈 것인가
임기 후,어디로 갈 것인가
  • 참여와혁신
  • 승인 2004.12.10 00:00
  • 수정 0000.00.0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조간부 어디로 가는가
현장으로...상급단체로...정당으로...
개인적 선택의 문제로 한정

노동조합 집행부의 임기는 일반적으로 2~3년이다. 최근 들어 대공장을 중심으로 연임하는 경우가 거의 없이 매번 집행부가 바뀌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렇다면 임기를 마친 집행부들의 행보는 어떻게 될까.

대부분의 경우는 현장으로 복귀한다. 집행부를 맡기 전에 하던 일을 계속하는 것이 어떻게 보면 가장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그러나 이 문제와 관련해서 현장에서 불만이 터져나오기도 한다. 

일부의 일이기는 하겠지만 임기 후 좀더 편안한 업무로 빠지거나 현장조직 활동 등을 핑계로 작업에 제대로 참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금속사업장의 조합원 L씨는 “안 그런 경우가 많겠지만 집행부 마치고 나서 편한 업무를 받아 부서를 옮기는 경우를 봤다. 그러면 현장에서는 비아냥거림이 나온다”고 밝혔다.

사실 이런 경우는 보통 현장조직과 연관이 되어 있거나 신임 집행부가 동일 계열일 때 나오는 불만 중 하나다. 상당수의 경우는 오히려 눈치가 보여서 더 열심히 일한다고 말한다. 정부투자기관 노동조합 집행부를 지낸 K씨는 “노동조합 간부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그 전보다 업무에 더 열심이다. 나 때문에 노동조합이 욕먹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현장에서도 전관예우?

다른 측면에서는 노동조합 활동가 출신들이 현장에서 일정한 역할을 해 줘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중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대의원을 구하지 못해 쩔쩔매는 현실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노동조합 활동 경험이 있는 전직 집행부들이 그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노동조합에 전달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

현재 공공부문 노동조합 간부로 있는 S씨는 “노동조합 활동의 기본이 현장이라는 걸 감안한다면 집행부 활동 과정에서 느낀 문제점 등을 해결하는 방법을 현장 활동을 하면서 찾아가는 건 의미있는 일”이라고 밝혔다.

S씨는 임기 후에 현장으로 돌아가서 작업장 정서를 구체적으로 느끼고, 노동조합 활동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 나가면서 장기적인 활동을 하고 싶다는 포부를 내비쳤다.

임기 후의 행보와 관련해 논란이 되는 것은 보통 임원급들이다. 특히 상급단체 임원 등을 지냈을 경우 회사에서도 작업장 복귀를 꺼려 한다는 것. 실제로 상급단체 임원을 오랫동안 지낸 모씨가 복귀할 예정이었던 업체의 노사협력팀 관계자는 “회사로서는 굳이 현장으로 돌아오지 말고 바깥에서 다른 일을 찾아봤으면 하는 게 솔직한 심정이었다”고 토로했다.

결국 이 임원은 회사에 적을 두고 있으면서 노사 간의 묵인 하에 외부에서 정당 활동을 하고 있다.

노동계 관계자들은 민주노동당 창당 이후 향후 행보에 대해 숨통이 트인 셈이라고 밝혔다. 상급단체 외에 정당이라는 새로운 활동 공간이 생겨 그나마 나아졌다는 것. 그러나 이같은 ‘자리’도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임기 후 적응 못하고 퇴사하기도

IT노동조합의 한 임원은 “우리처럼 기술발전 속도가 빠른 곳의 경우 3년, 혹은 6년 정도 노동조합 활동을 하고 나면 업무복귀가 쉽지 않다”고 밝혔다. 변화한 기술에 적응할 수 없다는 것. 이 임원은 또 “노동조합 임원을 하면서 회사 고위층과 대등한 입장에 있다가 다시 현장으로 복귀해서 대리, 과장 역할을 하는 것도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고 털어놨다.

이 회사 노동조합의 경우 재선에 실패한 임원들은 퇴사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적응을 하지 못하고 회사를 그만두고 새로운 길을 찾는 것이다. 일부 기업에서는 상급단체 임원급들이 퇴임할 경우 퇴사와 함께 회사측이 일정한 보장을 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임기후의 진로에 대한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단순히 개인적 선택이나 정파의 이해관계 조정에 따라 상급단체 혹은 정치활동 진출, 현장 복귀 등이 아니라 진로선택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노동조합 집행부가 현장에 복귀할 경우 활동 방법이나 상급단체 진출을 위한 교육훈련 등을 통해 다양한 통로를 만들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총연맹 간부 J씨는 “문제는 실력이다. 노동조합 활동을 한 사람들이 현장이건 정당이건 진출해서 자신의 실력을 보여준다면 길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임기를 끝내고 갈 데가 없어서 이곳저곳을 기웃거리는 게 아니라 당당한 실력을 갖추고 자신을 필요로 하는 곳을 찾겠다는 계획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노동조합 차원에서 일종의 ‘전직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활동가들의 ‘경력지원’에 나서는 것은 장기적으로 볼 때 노동조합운동의 저변을 확대하는 것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