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통합 이후, 미래 정책금융 마중물 될 것
조직통합 이후, 미래 정책금융 마중물 될 것
  • 박종훈 기자
  • 승인 2015.11.03 09:57
  • 수정 0000.00.0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년 사이 분리와 재통합, 근로조건 일치 과제
산은 비전 찾아가며, 금융노조에서도 중심 역할 계속할 것
[사람] 김대업 한국산업은행지부 위원장

올 1월 2일, 산업은행과 산은지주, 정책금융공사가 통합산업은행으로 출범했다. 이명박 정권 시절 산업은행 민영화 추진으로 정책금융공사가 분리된 것이 2009년이었으니, 5년 만의 재통합이다.

같은 배에서 태어났으며, 맡은 바 기능이나 주요 업무도 비슷하고, 비교적 짧은 기간 분리돼 있던 두 곳이지만, 조직 통합을 두고 삐걱거림이 전혀 없었다면 거짓말일 것이다. 김대업 금융노조 한국산업은행지부 위원장을 만나 통합 이후 이야기에 대해 들었다.

올해 초 통합산은이 출범했다. 지금 상황은 어떤가?

“작년에 통합법이 통과되고 연초에 바로 통합이 되었는데, 조직 통합이다 보니 어려움이 없다면 거짓말일 것이다. 산업은행 구성원이 2,800여 명이고, 산은지주와 정책금융공사의 인원이 400명 가까이 된다. 산은지주에는 노동조합이 없고, 정책금융공사는 결의를 통해 지난해 말 조직을 해산했다. 이들 조합원들은 지금 전원이 산업은행지부에 가입돼 있다. 조합원 규모는 지금 그래서 2,200여 명 수준이다.

산업은행 출신인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이 조직의 분리와 통합 등 과정을 두고 ‘개구리 해부 실험’이라고 표현한 적이 있다. 민영화한다고 조직을 떼어냈다가, 다시 붙이고. 당사자들은 누구도 원하지 않던 실험이었는데. 아픔이 크다.”

통합 과정에서, 혹은 통합 이후 가장 걸림돌이 되었던 점은 무엇인가?

“조직 통합에 여러 가지 복잡한 사안들이 다양하게 관련이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근로조건을 일치시키는 부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당연히 그 부분은 해결이 된 상태에서 통합이 진행되어야 함에도, 현실은 그러지 못했다. 일부만 일치시켰다. 6개 직급의 근로조건 중 두 개 직급만 맞춘 상태다.

1, 2, 3급의 경우 상대적으로 산업은행 직원이 불이익을 받으며, 4, 5, 6급은 정책금융공사 직원이 불이익을 받는다. 그래서 3급과 6급의 근로조건을 맞췄다. 근로조건 일치는 지부의 주요한 입장이고, 올해는 물론 내년 남은 임기까지 최선을 다해 전체를 일치시킬 것이다.

기본적으로 지부에서 지난해 세웠던 원칙은 다음과 같다. 두 조직 중 높은 쪽으로 근로조건을 맞춘다는 것이다. 조직 통합을 구실로 조합원들의 근로조건 저하가 수반되는 것을 지켜볼 순 없다.

지금 이러한 조직 재편이 우리가 원해서 진행됐던 것인가? 결국 뒤숭숭한 분위기를 견디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며 고생하는 것은 내부 구성원들이다. 정부 정책에 부응해 이러한 고통을 감내한다면, 일방적으로 재편을 추진하는 정부도 당연히 거기에 상응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를 맞춰나갈 것인가? 또 두 조직의 문화나 성향차가 보이는 지점은 무엇인가?

“방법적인 부분은 정부와 조율이 필요한 부분이니 단정하기 어렵다. 예산을 따내야 하는 부분도 있고 하니까. 하지만 인건비 절감 등 자구노력을 하겠다는 부분 등을 강조하고 싶다. 우리가 가능한 부분, 노동조합이 감내할 수 있는 부분의 노력을 함께 가져가겠다는 의미다.

두 조직에서 담당하는 기능이 비슷하기 때문에, 구성원들의 맡은 업무는 큰 차이가 없다. 정책금융공사 구성원은 크게 세 부류라고 볼 수 있을 텐데, 우선 분리 이전 산업은행 직원이었던 이들이 있고, 경력직으로 채용된 이들이 있고, 분리 이후 공채로 입사한 신입 직원들이 있다.

문화적으로 차이를 느끼는 것은 신입 직원들일 거다. ‘공사’에 입사했는데, 지금은 ‘은행’ 업무를 해야 하니까. 산업은행은 공공적 역할을 하면서도, 일반 시중은행들과 경쟁도 해야 한다. 또 연고가 없는 지점에 발령을 받는다든지 등의 애로사항이 생길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한 부분은 내부 연수 등을 계속 추진하고 있다.”

조합원들의 관심을 갖고 있는 건 무엇인가? 그리고 앞으로 산업은행의 비전에 대해 지부는 어떤 그림을 갖고 있나?

“승진이라든가 임금과 관련한 내용은 어느 계층에게나 관심거리다. 비교적 고참 조합원들은 정년문제에 관심을 많이 갖고 있다. 또 조직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간 계층은 자신의 직무, 일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다. 신입 조합원들은 교육과 연수 기회를 많이 가졌으면 하고 바란다.

금융위에서도 검토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앞으로 산업은행은 미래산업, 신성장산업 등에 있어서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 산업은행이 시장을 조성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 당연히 일반은행들의 보수적인 투자와 차이가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매 건마다 감사에서 ‘왜 부실이 났느냐’고 지탄의 대상이 되는 건 맞지 않다. 벤처기업 100군데에 투자해 모두 성공을 거둔다면 그게 어떻게 투자인가?

산업은행이 담당하는 정책금융으로서 앞으로 미래상은 무엇일까? 그 중 중요한 하나가 통일금융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산업은행이 미래를 대비하고 장기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여지를 만들어줘야 한다. 미션을 부여해야 한다. 산은법에도 그런 미션을 적절하게 표현해 줘야 한다. 그래야 연구개발부터 시작해서 조직적으로도 서서히 모양을 갖춰나갈 수 있다.

산업은행지부는 올해 41년이 됐으며, 상급인 금융노조는 55년이 됐다. 그동안 산업은행은 세 명의 금융노조 위원장을 배출했다. 지금도 그렇지만 산업은행지부는 정책이든 투쟁이든, 금융노조 안에서 지속적으로 중심적인 역할을 해 나갈 것이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섞여 있는 금융노조 조직 특성상, 산업은행지부는 양쪽의 장점을 잘 결합하고, 각종 현안에 있어서도 균형을 잡으며 중재자 역할을 잘 해나갈 수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