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기업 노조파괴 7년, 청와대까지 오체투지 투쟁
유성기업 노조파괴 7년, 청와대까지 오체투지 투쟁
  • 강은영 기자
  • 승인 2018.05.21 10:33
  • 수정 2018.05.18 19: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동자들의 고통, 이제는 청와대가 응답할 때

"노조파괴 진짜 주범 현대차를 처벌하라!"

청와대까지 오체투지 행진을 시작 하기 전 구호를 외치고 있다. ⓒ 강은영 기자 eykang@laborplus.co.kr
청와대까지 오체투지 행진을 시작 하기 전 구호를 외치고 있다. ⓒ 강은영 기자 eykang@laborplus.co.kr

지난 2011년 5월 18일, 유성기업이 직장폐쇄를 한 지 7년이 지났다. 그럼에도 유성기업의 노조파괴는 끝나지 않았다며 조합원들은 거리로 나왔다.

유성기업 조합원들과 금속노조 조합원들은 18일 청계광장 앞에 모여 청와대까지 오체투지 행진을 진행했다. 유성기업 노조파괴 진짜 주범이 현대차임을 밝히고 청와대에 항의서한을 전달기 위해서다.

이들은 “노조탄압을 중단 시기키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다”며 “유시영 대표는 반성 없이 조합원들에게 손배민사소송을 통해 여전히 괴롭힘을 지속하고 있다”고 행진을 진행하게 된 이유를 밝혔다.

김정태 금속노조 대전충북지부 지부장은 “삼성은 노조파괴를 자행했던 자들이 법정구속 되고 있고, 이제 한 재벌만 구속시키면 된다”며 “검찰이 현대자동차의 부당한 노조파괴 개입을 재조사 보류하는 것은 아직도 재벌이 노동자를 억압하고 차별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가 말하는 노동존중 사회가 어떤 것인지 의문이 든다”며 “노조파괴를 악랄하게 자행하고 있는 현대재벌을 처벌하고 유성기업 노동자들의 아픔을 닦아내야 한다”고 정부의 행동을 촉구했다.

김태연 유성범대위 상입집행위원장은 “지금의 노동문제에서 규명해야 할 최대의 문제는 노조파괴 진상 규명이다”라며 “노조파괴는 과거사가 아닌 10년도 안 된 지금 현재의 일이다”고 노조 파괴 문제 해결이 중요하다고 제기했다.

또한 최근 검찰 과거사위원회에 대해 “유성노조파괴 진상규명이 현재 판결에 영향을 준다는 이유로 사건 조사대상에서 뺐다”며 “진상규명이 필요한 이유는 판결에 영향을 주려는 것이다”라고 제대로 된 조사를 통해 현대자동차를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합원들이 오체투지를 하며 행진을 진행하고 있다. ⓒ 강은영 기자 eykang@laborplus.co.kr
조합원들이 오체투지를 하며 행진을 진행하고 있다. ⓒ 강은영 기자 eykang@laborplus.co.kr

발언을 마치고 오체투지를 하는 조합원들을 선두로 약 2km의 거리의 행진을 시작했다. 청계광장 소라 탑에서 시작된 행진은 약 1시간 30분 후 청와대 앞에 도착했다.

청와대 앞에서 이승열 금속노조 부위원장은 “삼성보다 훨씬 더 오래전 많은 내용으로 노조파괴를 자행한 현대차 그룹에 대해서는 아무런 이야기도 나오고 있지 않다”며 “8년의 시간동안 수 없이 많은 투쟁을 하고 한 노동자는 목숨을 잃었으며 상당수의 노동자들은 우울증에 시달리며 고통 받고 있다”고 유성기업 노동자들의 어려움에 대해 말했다.

이어 “재벌이 노동자를 탄압할 수 있는 것은 재벌과 정치검찰, 사법당국이 제대로 조사를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라며 “이제는 청와대가 직접 나서서 응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발언을 마친 이승열 금속노조 부위원장과 유성기업 영동지회, 아산지회 지회장이 함께 청와대에 항의서한을 전달했다.

전달을 마치고 돌아온 이정훈 유성기업 영동지회 지회장은 “당사자에게 직접 항의 서한을 전달하겠다고 말해 실무자 한 명과 대화를 나눴다”며 “언제까지 전달해줄 것이라는 질문에 일주일 안으로 지회에 연락을 주겠다는 답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유성기업 노조파괴 해결할 수 있는 핵심은 현대자동차다”며 “청와대가 이를 제대로 확인 할 것인지 지켜볼 것이다”고 밝혔다.

청와대에 전달한 항의서한에는 ▲국정원 개혁위원회 유성사건 조사 결과 공개 ▲검찰과거사위원회 재조사 보류 철회 ▲현대자동차 부품사 노조파괴 지시 책임자 처벌 ▲기업의 노동자 괴롭힘에 대한 엄정한 기준 마련 ▲노동3권 부정에 대한 국가적 보호 정책 수립의 요구가 담겨 있다.

ⓒ 강은영 기자 eykang@laborplus.co.kr
ⓒ 강은영 기자 eykang@laborplu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