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30번째 사망자, 대한문 앞 분향소 설치
쌍용차 30번째 사망자, 대한문 앞 분향소 설치
  • 강은영 기자
  • 승인 2018.07.03 20:06
  • 수정 2018.07.03 19: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 이상의 희생자 피해 막아야
ⓒ 강은영 기자 eykang@laborplus.co.kr
ⓒ 강은영 기자 eykang@laborplus.co.kr

 

“정리해고를 겪으며 내가 사는 세상을 봤다. 2009년 8월5일의 옥상을 조용히 감당하며 살았다. 북받치면 뛰쳐나가 소리 질렀다. 이렇게 살아 뭐하나 하는 생각을 많이 했다. 진압·구속 뒤 10년 동안 실제 세계에 눈을 떴다. 시간이 갈수록 이 세상이 점점 빠듯해질 것을 안다. 내 아이들이 불쌍하다”

지난달 27일 세상을 등진 쌍용차 조합원이 사망 전 한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했던 말이다. 2009년 쌍용차 해고사건 이후 30번째 죽음이다. 금속노조 쌍용차지부는 지난 2013년 대한문 앞 분향소가 철거된 지 5년 만에 다시 사망자를 기리기 위해 그 자리를 찾았다.

금속노조 쌍용차지부와 민주노총, 여러 시민단체는 3일 대한문 앞에 모여 분향소를 설치하며 기자회견을 가졌다.

김득중 쌍용차지부 지부장은 “쌍용차 해고 노동자들은 경찰 특공대에 진압 속에 쫓겨났고 오히려 범죄자와 폭력집단이라는 낙인으로 인해 재취업 엄두도 낼 수 없이 생계를 위해 전국으로 흩어져 지낸 지 10년이다”라며 “쌍용차를 다녔다는 이력은 주홍글씨로 남아 취업도 쉽지 않았다”고 지난 시간을 회상했다.

또한 “많은 조합원들은 경제적 어려움을 견디기 보다는 범죄자 취급하고, 폭력 집단으로 바라보는 눈빛의 시선들이 더 견디기 어려웠다”며 “복직 시기를 정하고 경찰 폭력에 대한 조사를 빨리 했다면 죽음으로 내몰리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정부와 검찰, 사측을 비판했다.

쌍용자동차는 지난 2015년 노사와 합의를 맺으며 2017년 상반기까지 해고자 전원복직을 약속한 바 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 또한, 정부에서는 쌍용차 사태 국정조사와 해결을 약속한 바 있지만 진상조사가 진행되지 않았고, 손해배상 소송도 취하되지 않았다.

윤지선 손배소 피해자들을 돕는 시민모임 ‘손잡고’ 활동가는 “쌍용자동차 해고노동자 인터뷰에 왜 쌍용차가 아니면 안 되냐는 댓글들을 봤다”며 “무엇에 분노에 입에 담기 힘든 욕설을 보고 당사자분들이 봤을까봐 무서웠고, 30명이 희생이 됐음에도 같은 질문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 두렵다”고 입을 열었다.

이어 해고자들이 보낸 메시지들을 하나하나 읽으며 그들의 생활을 고백했다. “해고자분들은 생활비와 대출금을 갚기 위해 일용직을 전전해가면서 겨우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었다”며 “경찰의 손배가압류로 집과 마지막 보류인 퇴직금마저 빼앗기며 지난 시간 고통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상진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정리해고 10년이 지나서야 불법이라는 걸 증명해내면서 30명이 희생됐고, 이제 120명 해고자가 남았다”며 “대법원 판결이 불법이라는 것이 드러났는데도 얼마나 더 기다려야 하냐”고 정부의 빠른 대책을 촉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쌍용차 해고자 전원복직 ▲손배가압류 철회 ▲국가폭력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 ▲故 김주중 조합원 명예회복을 촉구했다.

기자회견을 마친 이들은 대한문 앞에 분향소를 설치하려 하자, 극우단체에 반대로 인해 몸싸움이 일어났다. 대치 끝에 분향소를 설치하고 김득중 지부장이 상복을 입고 앉아 분향을 하는 시민들 조문을 받았다.

김득중 쌍용차 지부장이 대한문 앞 분향소에 앉아 상복을 입고 조문을 받고 있다. ⓒ 강은영 기자 eykang@laborplus.co.kr
김득중 쌍용차 지부장이 대한문 앞 분향소에 앉아 상복을 입고 조문을 받고 있다. ⓒ 강은영 기자 eykang@laborplu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