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서비스 위한 신기술 도입...스마트 시티 서울, 그 미래는?
공공서비스 위한 신기술 도입...스마트 시티 서울, 그 미래는?
  • 김란영 기자
  • 승인 2018.10.23 19:35
  • 수정 2018.10.23 19: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연구원 26주년 개원기념 세미나
‘스마트 시티, 서울의 미래를 그리다’
종합토론서 패널 간 의견 엇갈려
ⓒ 김란영 기자 rykim@laborplus.co.kr
ⓒ 김란영 기자 rykim@laborplus.co.kr

서울연구원이 23일 오후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스마트 시티 서울의 미래를 그리다’를 주제로 개원 26주년을 기념하는 세미나를 열었다. 먼저 서울연구원이 서울시 스마트 시티 추진전략과 부문별 과제를 발표하고 이후 전문가 7명이 종합토론을 진행했다.

임희지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시민의 삶을 바꾸는 스마트 시티 서울’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그 핵심 전략과제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정보시스템 고도화 △IoT도입을 통한 서울시 주차공간 확보 △대중교통 자율주행 도입 △재난·안전 빅데이터 구축 및 기존 서울안전통합상황실과 연계 △미세먼지, 폭염 등 기상 재난 모니터링 위한 IoT 도입 및 활용 △시민 체감 안전서비스 제공 △신재생 에너지 저장·교환 시스템 마련 △ 전기자동차 인프라 확충 △스타트업 육성·지원 공간 확대 △스마트시티 관련 신사업 육성 등 10가지를 꼽았다. 이는 서울연구원이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1일까지 서울시민(16세~69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이 신기술 도입에 따른 개선 기대감이 교통과 안전, 문화관광 분야에서 높게 나타난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서울연구원은 또 서울시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신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도시 혁신 모델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어반테크(Urban Tech)기업을 비롯한 스타트업 육성과 지원 확대, 특화산업 중심의 혁신지구 추진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서울연구원은 기존에 관련 인프라가 어느 정도 구축되어 있는 마곡 산업단지와 상암 디지털 미디어 시티(DMC), 용산 Y밸리 등지에서 시범 사업을 실시할 것을 권고했다.

한편, 종합토론에선 서울시 스마트 시티 추진 사업을 놓고 견해 차이가 크게 엇갈렸다.

황종성 한국정보화진흥원 연구위원이 “진리가 아니라 도시가 우리를 자유롭게 할 것”이라며 “VR과 AR 등 핵심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교육과 일터, 여가의 경계를 허문 도시를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히고 김도년 성균관대 건축학과 교수가 “앞선 기술력을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해 내야 한다”고 강조한  반면 구본권 한겨레신문 사람과디지털 연구소장은 “스마트 시티 기술이 우리에게 엄청난 편리함을 제공하는 만큼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 간의 격차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며 “개발할 때부터 기술이 지닌 양면성을 고려해야 진정으로 인간 공동체를 위한 스마트 시티를 설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종관 성균관대 철학과 교수도 “‘스마트 시티’는 식상해진 ‘유비쿼터스(ubiquitous)’개념을 대체한 마켓 브랜드”라며 “근대도시가 인간을 공장 부속품으로 만들었던 것처럼 스마트 시티는 인간을 ‘자동화된 부속품’으로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오늘 서울시 스마트 추진 계획도 사회적 자본이 아닌 시장 자본 확대에 치중했다”고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날 토론에는 유인상 LG CNS 스마트시티추진단장과 김소겸 SH공사 도시공간사업본부장, 김태균 서울시 정보기획관도 함께 참석했다. 사회는 이광재 (재)여시재 원장이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