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식 23일차 공무원노조 김은환 회복투 위원장 응급실 긴급 이송
단식 23일차 공무원노조 김은환 회복투 위원장 응급실 긴급 이송
  • 김란영 기자
  • 승인 2018.12.18 18:15
  • 수정 2018.12.18 18: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곧 있으면 ILO 창립 100주년인데
정부, 원직 복직 문제 해결 미루나
ⓒ 김란영 기자 rykim@laborplus .co.kr
18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청와대 사랑채 앞에서 전국공무원노조 투쟁을 지지하는 노동시민사회단체가 해직공무원 원직 복직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 김란영 기자 rykim@laborplus .co.kr

문재인 대통령에게 해직 공무원 원직 복직을 요구하며 단식농성에 나선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김은환 희생자원상회복투쟁위원회(회복투) 위원장이 단식 23일차인 18일 오후 12시, 심각한 가슴통증을 호소해 서울 중랑구 녹색병원으로 긴급 이송된 것으로 전해졌다.

전국공무원노조는 바로 전날 실시한 '바이탈 체크'에서도 김은환 회복투 위원장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바이탈 체크는 의료진이 환자의 기본적인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체온, 호흡, 맥박, 혈압 등 4가지를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앞서 김은환 회복투 위원장과 전국공무원노조 김주업 위원장은 지난달 26일부터 서울 종로구 청와대 사랑채 앞에서 무기한 단식농성을 벌여왔다. 이들은 해직 공무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정부가 징계를 취소하고 해직 기간의 경력과 임금, 연금 등을 모두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당시의 직급과 호봉으로만 복직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이어오다가 지난 12일 노조와 진행한 4차 교섭에서 해당 내용을 법안으로 발의하지는 않되, 원직복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도 어렵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2년 10월 20일 전국공무원노조 총회에 참석해 전국공무원노조 건설과정에서 희생된 공무원 해직자의 원직복직과 명예회복을 약속하고 이들을 원직 복직시키는 특별법 제정에도 동의서명을 한 바 있다.

현재 전국공무원노조에는 노조 활동을 하다 해직된 뒤 복직되지 못한 공무원들이 136명 남아 있으며 대부분이 50세를 넘겨 정년을 앞두고 있는 상태다.

우리나라는 1991년 국제노동기구(ILO) 가입 이후 모든 노동자들의 노동기본권을 보장한 ‘결사의 자유 협약’(제87호, 제98호)‘을 비준하지 않아 여러 차례 시정 권고를 받아왔다. 오는 2019년은 ILO가 창립 100주년을 맞는 해로, 문 대통령은 내년 6월 초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총회에 참석할 가능성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