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조합원 100만 명 돌파… “신규 조합원 10명 중 4명은 공공부문”
민주노총 조합원 100만 명 돌파… “신규 조합원 10명 중 4명은 공공부문”
  • 이동희 기자
  • 승인 2019.09.10 17:07
  • 수정 2019.09.10 17: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일 민주노총 조직확대 현황 발표 기자회견 “지속적인 조직 확대 추세”
10일 민주노총은 서울 중구 민주노총 13층 대회의실에서 ‘2019 민주노총 조직확대 현황발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 이동희 기자 dhlee@laborplus.co.kr
10일 민주노총은 서울 중구 민주노총 13층 대회의실에서 ‘2019 민주노총 조직확대 현황발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 참여와혁신 이동희 기자 dhlee@laborplus.co.kr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위원장 김명환, 이하 민주노총) 조합원 수가 100만 명을 넘어선 가운데, 지난 2년여 동안 민주노총에 가입한 신규 조합원 10명 중 4명은 공공부문 노동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민주노총은 서울 중구 민주노총 13층 대회의실에서 ‘2019 민주노총 조직확대 현황발표 기자회견’을 갖고 2019년 4월을 기준으로 민주노총 조합원 수가 101만4,845명으로 집계돼 총 조합원 수 100만 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7년 1월 조합원 수 79만6,874명에 비해 2년 3개월 만에 21만7,971명(27.4%) 증가한 수치로, 민주노총은 “촛불 이후 기대만큼 바뀌지 않는 일터를 바꾸기 위한 열망이 노조 조직화로 드러난 것”이라고 평가했다.

조합원 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민주노총 가맹조직은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이하 공공운수노조)으로 나타났다. 공공운수노조 조합원은 2019년 4월을 기준으로 22만626명을 달성했으며, 2017년 1월과 비교해 조합원 수가 5만404명(29.6%) 증가했다.

공공운수노조 외에도 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연맹에 22,512명이 가입했으며, 전국공무원노동조합 9,648명까지 포함하면 공공부문에서 최소 82,564명의 신규 조합원이 발생했다. 민주노총은 “신규 조합원 10명 중 4명은 공공부문에서 조직화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정우 민주노총 미조직전략조직실장은 “문재인 정부의 노동존중에 대한 기대가 현실에 미치지 못한 것이 공공부문의 간접부문 노동자들의 조직화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이 같은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민주노총 조직확대 조사결과를 발표하는 정경은 민주노총 정책연구위원. 정 정책연구위원은 “민주노총의 가맹·산하조직의 대의원대회 자료집, 조직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9년 4월 기준 민주노총 조합원 수가 101만4,845명으로 2017년 1월 79만6,874명보다 27.4% 증가했다”고 밝혔다. ⓒ 이동희 기자 dhlee@laborplus.co.kr
민주노총 조직확대 조사결과를 발표하는 정경은 민주노총 정책연구위원. 정 정책연구위원은 “민주노총의 가맹·산하조직의 대의원대회 자료집, 조직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9년 4월 기준 민주노총 조합원 수가 101만4,845명으로 2017년 1월 79만6,874명보다 27.4% 증가했다”고 밝혔다. ⓒ 이동희 기자 dhlee@laborplus.co.kr

민주노총은 조합원 증감현황뿐만 아니라 2017년 이후 민주노총에 가입한 신규조직 765개 중 249개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해 신규조직 및 신규 조합원에 대한 특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정규직 조합원이 15,862명(37.3%), 비정규직 조합원이 14,838명(34.9%),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구성된 조직에 있는 조합원이 11,786명(27.7%)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청업체 소속 조합원은 17,243명(38.1%), 하청업체 소속 조합원은 10,7413명(38.5%)으로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다.

노조결성 이유(복수응답 허용)에 대한 답변은 ▲임금(22.2%) ▲고용불안(19.0%) ▲직장 내 괴롭힘·폭언·성희롱·폭행 등 부당한 대우(15.9%) ▲정규직 전환(10.3%) ▲주52시간 상한제에 따른 불이익 등 노동시간 문제(6.3%) 순으로 나타나 임금과 고용불안이 노조결성의 대표적인 동기로 조사됐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민주노총이 양적인 증가에 따라 질적인 변화를 요구받고 있는 시기가 왔다”며 “민주노총은 조합원 양적 성장에 따른 사회적 책임을 위해 우리 사회를 바꾸고 문재인 정부의 약속의 의미가 굉장히 무거움을 이 자리에서 다시 한 번 강조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200만 민주노총’을 목표로 조직화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최정우 민주노총 미조직전략조직실장은 “민주노총 조직화의 화두는 30인 이하 사업장 조직화”라며 “작은 사업장의 조직화를 위한 법제도 및 노동정책 개선까지 민주노총이 함께 책임지는 새로운 전략과 계획을 수립할 때가 되었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대기업 정규직 노동자뿐만 아니라 모든 노동자의 권리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과제가 민주노총에게 부여되고 있고 이를 위해 민주노총이 지속적인 토론을 이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