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감소한 취업자 48만 명이 아니라 102만 명”
“코로나19로 감소한 취업자 48만 명이 아니라 102만 명”
  • 손광모 기자
  • 승인 2020.05.18 14:56
  • 수정 2020.05.18 14: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코로나 위기와 4월 고용동향’ 발표
“코로나 위기에 따른 일자리 상실은 여성, 고령자, 임시일용직 등 취약계층에 집중”
지난 4월 1일 오전 11시 민주노총에서 열인 '해고금지를 요구한다' 기자회견 현장. 해당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음. ⓒ 참여와혁신 이동희 기자 dhlee@laborplus.co.kr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위기가 가시화됐다. 위기는 취약계층에게 더 쏠렸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이사장 김유선)는 17일 ‘이슈페이퍼 2020년 10호 : 코로나 위기와 4월 고용동향’을 발표했다.

취업자 감소,
48만 명 아니라 102만 명

이슈페이퍼를 작성한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은 “코로나 위기로 감소한 취업자는 48만 명이 아닌 102만 명”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15일 통계청은 ‘2020년 4월 고용동향’을 발표하며, “2020년 4월 취업자는 2,656만 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7만 6,000명(-1.8%)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에 많은 언론들은 ‘취업자 48만 명 감소, 21년 만에 최악’이라는 제목의 보도를 이어갔다.

하지만 김유선 이사장은 “통계청은 매월 고용동향을 발표할 때 ‘전월 대비’보다 ‘전년 동월 대비’ 지표를 주로 사용한다. 계절 요인을 통제하기 위해서”라면서 “요즘처럼 코로나 위기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초미의 관심사일 때는 ‘전년 동월 대비’보다 ‘전월 대비’ 또는 ‘2월 대비’ 자료가 적합하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가 전국적으로 확산 되는 시점을 2월 중순으로 봤을 때, 코로나19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서는 올 2월 고용현황을 3~4월 고용현황과 비교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2월 대비 4월 취업자는 101만 8,000명 감소했다.(2020년 2월 계정 조정 취업자 수는 2,752만 2,000명, 4월 2,650만 4,000명) 

더욱이 이번 취업자 수 감소 규모는 ‘전례 없는’ 수치이기도 하다. 김유선 이사장은 “외환 위기 때 14개월 감소한 취업자가 160만 명이었음을 감안할 때, 앞으로 코로나 위기에 따른 취업자 수 감속 폭은 외환위기 때를 크게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 위기, 취약계층에게 집중

또한 김유선 이사장은 “코로나 위기에 따른 일자리 상실은 여성, 고령자, 임시일용직, 개인서비스업과 사회서비스업, 단순노무직과 서비스직 등 취약계층에 집중해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로 인해 감소한 취업자 수를 성별로 따져봤을 때, 여성(-61만 7,000명)이 남성(-40만 1,000명)보다 더 많이 감소했다.

취업자 중 일시휴직자(직장이나 사업체가 있으나 조사대상 기간에 일시적인 병, 휴가 또는 연가, 노동쟁의 등의 이유로 전혀 일하지 못한 경우)는 2020년 2월 61만 8,000명에서 3월 160만 7,000명으로 증가했고, 4월에는 148만 5,000명으로 전월 대비 12만 명가량 감소했다.

여기서 2월 대비 3월에 증가한 일시휴직자는 남성(32만 9,000명)에 비해 여성(66만 명)이 2배가량 많았다. 덧붙여 김유선 이사장은 “4월에 줄어든 12만여 명은 대부분 여성으로 일시휴직에서 무직(비경제활동인구 또는 실업자)으로 전환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연령대로 비교해봤을 때도 노년층에 피해가 컸다. 전 연령에 걸쳐 영향이 있었지만 특히 60세 이상(-44만 명, 42.8%)에 집중됐다. ▲15~29세(-20만 9,000명, 20.5%) ▲50~59세(-19만 2,000명, 18.8%) ▲30~39세(-17만 6,000명, 17.3%) ▲40~49세(15만 8,000명, 15.5%) 순서로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더불어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직(-25만 명, 24.5%) ▲서비스직(-24만 5,000명, 24%) ▲전문가(-21만 9,000명, 21.5%) 순으로 피해가 컸다.

김유선 이사장은 “이상을 종합하면 코로나 위기에 따른 일자리 상실은 특단이 대책이 없는 한 한국사회의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