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프리랜서노동자, “자조(自助)적 협동조합 만들 것”
플랫폼·프리랜서노동자, “자조(自助)적 협동조합 만들 것”
  • 강한님 기자
  • 승인 2020.07.07 13:03
  • 수정 2020.07.07 13: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협동조합협의회 발족
“경사노위에 위원회 설치하고 당사자 참여 보장” 요구
7월 7일 오전 10시 국회 소통관에서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협동조합이 발족 기자회견을 가졌다. ⓒ 참여와혁신 강한님 기자 hnkang@laborplus.co.kr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협동조합협의회(이하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협동조합)가 7일 오전 10시 국회 소통관에서 발족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플랫폼·프리랜서 기본법 제정, 경제사회노동위원회 플랫폼·프리랜서위원회 설치 등을 요구했다.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협동조합에는 ▲번역협동조합 ▲씨엔협동조합 ▲전국대리운전협동조합 ▲전국보조출연자노동조합 ▲(사)한국가사노동자협회 ▲(준)한국프리랜서사회적협동조합이 참여했다. 또한 한국노총, 전태일재단 등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이 연대했다.

이들은 이날 “외형이 어떠하건 간에 우리는 모두 불안정 노동자로서 근로기준법은 물론 이에 연동된 5대 보험, 고용지원서비스, 산업안전, 건강검진 및 근로자대출과 같은 기본적인 보호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며 “법제도가 우리를 보호하기 전에 자조(自助)적으로 노동자협동조합을 만들고 노동조합을 만든 당사자들이 이제 우리 자신을 선언하기 위해 모였다”고 선언했다. 

7월 7일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협동조합이 발족 기자회견에서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참여와혁신 강한님 기자 hnkang@laborplus.co.kr

기자회견에 참석한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플랫폼노동자는 주류노동 중심으로 설계된 사회안전망에서 방치되고 있고, 정부의 정책연구는 일정부분 이루어지나 현실에서 아직 구체적으로 반영되고 있지 않다”며 “한국노총은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들을 방관하지 않고 노동기본권 쟁취와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한국노총 직할 전국단위 일반노조를 설립해 제도개선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노총 전국단위 일반노동조합은 지난 2018년 대표자회의에서 결의돼 올해 본격적인 출범을 준비 중이다.

박계현 전태일재단 사무총장도 “근로기준법은 인간으로서 살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전태일 50년이 지난 이후에도 불안한 노동을 하는 노동자들이 있다”며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들이 당당하게 일할 수 있는 그날까지 전태일재단도 연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협동조합은 이달 말까지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 산업안전 캠페인’을 우선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공제회 설립과 전국민고용보험제 토론회 등의 활동을 전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