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사회적 책임, 노조의 적극적 개입 절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노조의 적극적 개입 절실
  • 정우성 기자
  • 승인 2008.12.16 21:26
  • 수정 0000.00.0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노총 토론회, "안전보건 관련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매우 미흡"
▲ 16일 한국노총 주최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노동조합의 역할 및 안전보건 활동 강화를 위한 전문가 토론회'가 열렸다. ⓒ 정우성 기자
한국노총 산업환경연구소(본부장 정영숙)가 기업의 안전보건에 대한 사회적 책임 이행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다수 기업이 이행실태를 보고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오후 한국노총 8층 회의실에서 진행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노동조합의 역할 및 안전보건 활동 강화를 위한 전문가 토론회’에서 한국노총 산업환경연구소 조기홍 국장은 “국내 최초로 국내 22개 기업과 국외 46개 기업들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기업이 안전보건에 대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행실태를 보고하지 않았으며 안전보건에 대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평가하기에는 현행 평가지표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안전보건 전문가, 사업장안전보건 관리자, 노동조합을 대상으로 실시한 CSR과 관련한 설문조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지경로는 매스미디어가 43~63%로 가장 높았으며,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산업안전보건에 대한 평가지표에 대해서는 노동조합, 사업장 안전보건관리자의 80% 정도가 모른다고 응답했다고 발표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신뢰도에 대해서는 사업장 안전보건 관리자는 46%가 신뢰한다고 응답한 반면, 노동조합, 안전보건 전문가는 15.1%, 4.4%만이 신뢰한다고 응답해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홍 국장은 “향후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보고서 발간요구 및 산업안전보건을 포함한 노동 분야 지표 개발을 비롯한 노동조합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노동조합의 역할’이란 주제로 발제에 나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노광표 부소장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요구는 자본주의 사회의 일반적이고 통시대적인 요구가 아닌 새로운 경제 시스템과 결합한 신자유주의 경제 사조이며 다국적 기업을 표상으로 한 ‘기업 권력’의 강화 흐름”이라며 “우리의 경우 CSR이 ‘사회공헌활동’으로 축소・왜곡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라도 노동의 적극적 참여와 개입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한국노총 산업환경연구소 정영숙 본부장을 비롯해 한국경총 김판중 팀장, 노동부 정기수 사무관, 한국산업안전공단 이관형 팀장,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최재욱 교수 등 다수의 전문가가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