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노동조합의 매각 대응 사례
대우조선노동조합의 매각 대응 사례
  • 승인 2005.12.05 00:00
  • 수정 0000.00.0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조 주축으로 매각 대응 ‘발 빠른 행보’

노·사·지역 삼각 플레이 지역경제·고용안정 동시에 잡는다

 

대우조선해양(주)의 매각을 앞두고 노동조합과 대우조선 임직원으로 구성된 우리사주조합, 지자체, 시민단체 등이 기업구성원과 지역사회의 참여 보장을 요구하고 나섰다.


2005년 1월 결성된 대우조선 매각대책위원회(대표·이세종 대우조선노조 위원장)는 산업은행의 지분 일괄매각 방침에 반대, 분산매각과 차입형 우리사주제도(ESOP)를 통한 자산관리공사(KAMCO) 지분 19.1% 인수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매각대책위는 △해외매각 반대 △일괄매각 반대 △투기자본 참여 반대 △구성원 참여 보장이라는 4가지 원칙을 세우고 매각 과정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해외매각과 투기자본 참여는 기술 및 국부 유출 우려가 있고, 일괄 매각의 경우 과거의 재벌체제로의 회귀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반대 의견을 냈고, ‘구성원 참여 보장’은 인원감축과 임금삭감 등을 감내하면서 기업 정상화에 힘을 보탠 구성원의 노력을 인정해야 한다는 차원이다.


그간 워크아웃을 졸업한 기업들이 매각되는 과정에서 노동조합이 고용 및 단체협약 승계, 투자 계획 명시 등을 놓고 인수자와 협상을 벌이는 일은 있었지만 매각 이전부터 대책기구를 구성, 매각 방향에 대해 구체적 대안을 제시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특히 노동조합 중심으로 구성된 매각대책위원회는 단지 조합원의 이익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경제와 국가기간산업의 역할을 강조하며 시·도 지자체와 시민단체, 정당의 지지를 얻고 있다.


협력사와 지역, 내부 구성원 압도적 지지받아
올해 1월 정당과 시의회, 시민단체, 노동계 및 학계의 참여로 구성된 대우조선 매각대책위원회는 결성 이후 안팎으로 활동을 넓히며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매각 문제를 쟁점화시키는 성과를 냈다. 사업장 내부에서는 조합원 교육 및 설문조사, 직반장 대표, 협력사 임직원 등 전 구성원과의 논의를 통해 매각 방향에 대한 의견을 모았다.


대외적으로는 매각 사업장 방문조사, 정당 및 시·도지사 간담회, 지역 언론사 간담회, 최대 주주인 산업은행 면담, 바람직한 매각을 위한 시민 서명운동 등을 벌이며 매각의 방향을 주도해 나갔다.


이 결과 지난 9월, 사내 임직원 및 하청업체 직원 4986명을 대상으로 ESOP를 통한 임직원 지분인수에 관한 찬성을 묻는 설문에서는 90%가 넘는 지지를, 현재까지 진행 중인 거제시민 서명운동에서는 전체인구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5만여 명의 서명을 받은 상태다.

 

국가 기간산업 매각, 새 모델 되나 주목
대우조선 매각대책위원회의 활동은 과거 일부 매각기업 노조의 대응보다 상당히 앞서 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사전 대응을 통해 구성원이 주도권을 쥐었다는 점이다. 최대 주주인 산업은행이 매각 의사를 밝히기 훨씬 전부터 매각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학습을 통해 구체적 대안 마련에 나섰다. <도표 참조>

두 번째로는 단지 기업 구성원의 이익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국가기간산업인  조선산업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지역사회-협력사-정당에 걸쳐 동의와 설득을 지속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결과 대우조선의 내부 구성원은 물론 지자체를 비롯한 지역 구성원까지 아우르는 대책위는 최대 주주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대안 세력으로 떠올랐다. 아직까지 산업은행이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얹은 일괄매각 방침을 고수하고 있어 자산관리공사 지분 인수 여부는 불투명한 상태다.


하지만 국민경제와 직접 연결되는 ‘알짜기업’들의 M&A를 줄줄이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대우조선 매각대책위의 활동은 국가 기간산업 매각에 대한 대응의 새로운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