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약한 시민사회, 민주주의는 멀었다
허약한 시민사회, 민주주의는 멀었다
  • 박종훈 기자
  • 승인 2013.03.05 11:12
  • 수정 0000.00.0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선 멘붕’ 어떻게 벗어날까?
공공의 가치 중시되는 새로운 사회 고민해야
[책을 품다] 벤자민 바버의 <강한 시민사회 강한 민주주의>

강한 민주주의자에게 시민사회는 국가와 시장에 대해 독립적인 제3의 영역이며, 귀속적이고 배타적이기보다는 자발적이고 포괄적이다. 완전히 공적이지도 않고 완전히 사적이지도 않으며, 공공선을 위해 작동하는 연합의 영역이다. 시민단체, 교사-학부모단체, 정당, 공적 이해관계를 추구하는 재단 등이 이에 속한다. 여기서 주요 행위자는 민주주의적 시민인데, 이들은 능동적이고 책임성 있고 참여적 집단의 구성원이다. - 책 안에서

시민사회라는 개념어는 각양각층의 사람들에 의해서 무척 다양한 의미로 쓰인다. 시민은 도대체 누구냐는 이론가들의 설왕설래는 밀어놓고, 사회의 다수를 차지하는 이들을 시민이라고 뭉뚱그려 봤을 때, 시민사회는 곧 공공선을 지향하는 사회라고 해석될 수 있겠다. 우리 주위를 한번 둘러보자. 정부도 시장도 공공의 목소리를 내기 위한 채널이 되어 주지는 못한다. 시민들 스스로 그런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저자인 벤자민 바버가 말하는 시민사회는 그렇게 목적과 주체가 서로 맞물려 돌아간다.

우태현 한국노총 정책본부 국장.
ⓒ 박종훈 기자 jhpark@laborplus.co.kr
대선이 끝나고 많은 사람들이 소위 멘붕에 빠졌다. MB정부를 한국 정치사에서 민주주의의 역진으로 여겼던 이들은 박근혜 후보가 다시 당선되는 모습을 보며 경악했다. 무엇이 문제였었나? 한국노총 정책본부 우태현 국장은 “허약한 시민사회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한국사회에서 강한 시민사회와 강한 민주주의를 위해서 어떤 전략이 필요한가 모색할 시기라는 의미다.

우태현 국장은 이 책을 민주통합당 관계자들에게 추천하고 싶다고 밝혔다. 아직까지 당 내에선 지난 대선을 평가하며 스스로가 우리 사회의 48%인 것처럼 착각하고 있는 이들이 있다고 지적했다. 패배의 원인을 “부동층을 잡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평가하는 이들이 많은 거 같다고도 덧붙였다.

이념적, 계급적 지향성 등 정치적 정체성이 없는 집단인 부동층을 공략하지 못했기 때문에 앞으로 이를 품고 가야 한다는 아주 허약한 정치를 민주통합당이 계속하려 한다고 우 국장은 비판하기도 했다. 당 혁신 방안도 이름을 바꾼다든지 등의 “화장을 새로 하는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대중과의 접촉면을 넓혀 나가는 것, 그리고 자신들의 지지기반을 분명히 해 나가는 것에 대한 고민의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저자 벤자민 R. 바버는 정치학자이자 사회과학연구소 소장이며,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을 비롯해 독일, 프랑스 정상들의 정치 자문을 맡기도 했다. TV프로그램, 오페라 등을 기획하기도 했으며, 소설과 사회과학서를 17권 저술했다. 당연히 여러 시민운동 단체의 핵심 인물로 활동한다. 영국 정치 학술지의 창간인이자 10년 동안 편집위원장을 지내기도 했다. 이처럼 다채로운 이력만큼이나 풍성한 재능을 온통 시민사회와 민주주의의 발전이라는 목적에 쏟아내고 있다. <결혼의 소리> <강건한 민주주의> <맥월드 대 지하드> <공포의 제국> <정치의 정복> <민주주의를 위한 열정> 등의 그의 저서는 대중들을 상대로 민주주의와 시민사회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쉽게 풀어쓴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