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 동안 산별 시스템 강화하겠다
임기 동안 산별 시스템 강화하겠다
  • 박석모 기자
  • 승인 2013.04.03 09:23
  • 수정 0000.00.0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언론 장악 깨려면 시민 관심 깊어져야
사회문화적 가치는 효율성보다 공감대 우선
[인터뷰4] 강성남 언론노조 위원장

지난해 두 공영방송사 노조가 유례없는 장기파업을 진행하면서 언론노조는 국민들의 관심의 중심에 있었다. 더구나 두 방송사 노조의 파업은 임금을 더 달라는 파업이 아니라 ‘공정방송’을 하고 싶다는 파업이었기에 더욱 관심을 끌었다. TV에서 친숙하게 보던 얼굴들이 머리띠를 매고 거리에 서서 주먹을 치켜 올리는 낮선 모습을 연출하기도 했다.

그렇게 관심의 중심에 섰던 언론노조가 지난 2월 20일 정기대의원대회를 열고 서울신문 출신 강성남 위원장을 제7대 위원장으로 선출했다. 강성남 위원장에게는 공정언론을 지켜내는 임무와 함께 지난해 파업 등으로 지쳐있는 조직을 다시 일으켜 세우는 임무가 함께 주어져 있다.

ⓒ 봉재석 기자 jsbong@laborplus.co.kr
3월 1일부터 임기를 시작했다. ‘산별답게 노조답게’가 슬로건이었다.

“언론노조는 규약에는 산별 시스템을 완벽하게 갖추고 있으나 진행되는 시스템이 완벽하지 않다. 그래서 기업별노조 때 가지고 있었던 습성을 바꿔야 한다. 아직 지부 교섭이 당연시되는 부분이 있다. 또한 지부별, 매체별 이해관계가 얽혔을 때 공공성에 기초해서 산별답게 결정을 못하는 경우들이 좀 있다. 예를 들면 미디어렙 같은 경우에 방송 매체별로 지역, 종교 방송, 방송사 규모에 따라서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부분이 있었다. 그래서 토론하고 결정했지만 내부적으로 갈등이 해소들이 안 된 부분들이 있다. 이런 게 산별답지 못해서 생긴 일이 아닌가 싶어서 ‘산별답게’라고 얘기했다.

방송, 신문 언론이 완전히 시장판에 내던져진 상태다. 종편이 출현하고, 경쟁이 심해져 콘텐츠의 내용적인 부분이나 제작 과정들이 자본의 논리에 대단히 순응되어 있다. 앞으로 그런 것들을 돌파하고 저지하려면 큰 조직답게, 산별답게 정책이나 투쟁 방법을 갖춰야 하지 않을까 생각항다. ‘노조답게’는 특히 비정규직 문제를 좀 노조답게 돌파해내자, 더불어 현장 중심의 노동조합 활동을 강화하자는 의미다.”

임기 동안 중심 사업은 무엇인가.

“산별 강화다. 산별의 틀을 갖추기 위해서는 우선 산별 중앙에 대한 신뢰가 조합원들 사이에 형성돼야 한다. 신뢰를 쌓기 위해서 각 지·본부를 자주 방문하고, 문제점이 뭔지 그때그때 파악해서 책임지고 해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겠다. MB 정권에서의 언론노조의 역사는 투쟁의 역사고, 언론 역사는 잔혹사라고 얘기한다. 그래서 조직 내부도 대단히 지쳐있다. 가장 먼저 내부 조직을 건강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걸 통해서 중앙에 대한 신뢰를 쌓아나가야 한다. 그게 완성됐을 때 산별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다. 앞으로 2년 동안은 우리 조직 내부의 힘을 좀 더 축적시키고 중앙에 대한 신뢰를 쌓아야 한다.”

지난해 방송파업 등 언론노동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지상파는 망가질 대로 망가졌다.

“현장 조합원들은 공정방송을 위해 대단히 노력한다. 바깥에서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내부 투쟁을 하고, 단협에 명시되어 있는 공정방송을 위한 시스템을 적극 가동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부적으로 보이는 게 이 정도니, 참 안타까운 일이다.

MB 정권 때 언론 장악을 해놓은 시스템이 지금도 여전히 작동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에서는 공영방송은 정권이 어느 정도 핸들링해도 된다는 대중적인 인식도 있다. 기본적으로 그것부터 깨져야 내부 투쟁이 어느 정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언론개혁운동이 대중운동으로 성공한 듯하지만 여전히 정권은 무시하고 있다. 대중운동과 결합돼서 나가는 힘이 아직까지 만족스럽지 않다. 우리 언론 조합원들의 가장 큰 힘은 자기 투쟁을 뒷받침해주는 시청자, 시민들인데, 그걸 받쳐주는 시민들의 관심이 깊어졌으면 좋겠다.

지금 박근혜 정권에서 언론 장악 상황을 빨리 바꾸자고 얘기하고 있지만 그렇게 쉽게 될 것 같진 않다. 물론 새 정부에서는 과거 정부의 문제점들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분명히 있을 것이다. 이런 공간에서 공영방송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있는, 거버넌스를 포함한 주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2013년 대한민국이란 시대적인 공간에서 아주 중요한 일인데, 동력을 못 받고 있는 것 같아 조금은 의아스러울 정도다.”

미래창조과학부를 둘러싼 정부조직법 논란이 진행 중이다. 방송과 통신을 융합해야 한다는 논리와 방송장악을 막아야 한다는 논리가 맞부딪치고 있다.

“미래 성장 동력을 마련하고,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 방송 통신 융합시대에 맞춰서 대응해나가야 한다는 것도 중요하다. 더불어 언론노조가 주장하는 방송 장악이 가능한 시스템을 막아야 한다는 것도 중요한 얘기다. 그런데 차이점은 방송이 이미 장악된 상태라는 거다. 방통위란 합의제 내에서도 장악을 했다. 하지만 장악을 하더라도 합의제이기 때문에 논의하는 와중에 문제점이 지적되고 사회적으로 이슈화됐다.

그런데 미래창조과학부에서 독임제로 방송 부문을 관여할 수 있게 되면 행정적인 절차만 거쳐서 방송 장악이 훨씬 쉬워질 것이다. 방송을 비롯한 어떤 새로운 미디어나 전부 여론 형성의 기능을 한다. 여론 형성 기능을 하는 것들은 사회문화적 가치가 훨씬 더 중요하다. 왜냐면 사회문화적 가치는 그 사회를 지탱하는 기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효율성이나 산업 논리보다는 사회적 공감대를 기초로 해서 만들어져야 한다.

일자리, 미래 성장 동력에 대한 허구는 이미 신자유주의가 도입되고 나서부터 몇 번을 겪었다. 벤처가 거품으로 꺼졌고, MB가 토건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래 성장 동력 만들겠다며 4대강 다 파헤쳤는데 사회적 갈등만 깊어졌다. 재정은 재정대로 쏟아 부었지만 결과는 뭔가? 그런 몇 번의 일자리와 성장 동력의 허구를 이미 경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