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을 토대로 향후 노동조합의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겠다”
“경험을 토대로 향후 노동조합의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겠다”
  • 박상재 기자
  • 승인 2015.01.14 16:46
  • 수정 0000.00.0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장급’ 위원장? 떨어진 노동조합의 위상을 높이는 것이 우선 과제
“교육을 통해 조직력과 투쟁력 모두 강화해 나갈 것”
[사람] 박표균 건강보험공단통합노동조합 위원장

ⓒ박상재 기자 sjpark@laborplus.co.kr
2014년 11월, 건강보험공단의 민주노총 전국사회보험지부와 한국노총 건강보험공단직장노동조합 두 노조가 통합한 이후 첫 집행부가 출범했다. 그간 이념을 달리하며 갈등을 빚기도 했던 두 노조의 통합이 과연 어떤 결과를 가져올까? 박표균 위원장이 그리고 있는 통합노조의 밑그림을 들여다보았다.

결선 투표를 거쳐 통합노조 초대 위원장에 당선됐다. 조합원들이 박표균 위원장의 어떤 모습을 기대하고 투표한 것이라고 생각하나?

“통합노조의 초대 위원장이라는 무거운 짐을 짊어지게 돼서 어깨가 무겁다. 해야 할 일도 많고, 조합원들이 초대 집행부에 기대하는 것도 많을 것이다. 초대 집행부가 해야 할 일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우선 흐트러진 대열을 정비하고, 안정된 조직 운영을 하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경험이 있는 사람을 뽑아 조직을 안정시켜야 한다는 조합원의 바람이 이번 투표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

서울지역의료보험 노동조합 초대 위원장, 공공운수노조 사회보험지부 초대 지부장을 거쳐 이번엔 건강보험공단통합노조 초대 위원장을 맡게 됐다. ‘초대’의 역할과 그 중요성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향후 노동조합의 방향에 대한 그림을 그리는 것에서 ‘초대’의 중요성을 찾을 수 있이다. 초대 집행부가 노동조합의 운영 방향을 잘못 설정할 경우, 향후에도 계속 이러한 방향이 이어지는 것이 관례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운영 방향을 설정한 뒤엔 몸소 실천하는 과정까지 이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서울지역의료보험 노동조합 초대 위원장을 역임했을 때는 전국 조직을 모아서 의료보험의 통합을 강력하게 주장한 결과 통합을 이뤄냈다. 이와 같은 경험을 토대로 향후 건강보험공단 노조가 나아갈 올바른 방향을 확보해 나갈 것이다.”

민주노총 사회보험노조와 한국노총 직장노조가 통합하기 전까지 제기되던 문제 중 하나가 신규 조합원 가입이 미흡했다는 점이다. 앞으로 통합노조에서는 조직력 강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할 것인가?

“각 노조의 문화가 달랐고, 이해관계가 달랐기 때문에 두 노조가 감정적으로 마찰을 빚은 적도 있었다. 사회보험노조는 건강보험의 통합을 긍정적으로 생각한 반면 직장노조는 이를 반대했었으니 더욱 그랬다. 이런 상황에서 신입 사원이 어느 한 쪽 단체를 선택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통합 집행부에선 추가적으로 노동조합의 필요성을 알릴 수 있는 교육도 진행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기존에 양 노조가 있을 때 어느 한 쪽 노조를 선택하기 어려웠던 점뿐만 아니라 노동조합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에 가입을 하지 않는 조합원들도 상당수 차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을 통해 노동조합의 필요성을 알리고, 조직을 확대해나갈 것이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투쟁력도 점차 강화해 나갈 생각이다.”

노동조합이 앞으로 중점을 두고 진행해 나갈 사안이 있다면 무엇인가?

“박길식 수석부위원장과 통합노조의 역할에 대해 공감했던 부분 중 하나가 노동조합의 위상을 살려야 한다는 점이었다. 그간 노동조합은 사측의 일방적인 사업 추진에도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했고, 심지어 노동조합 위원장을 놓고 ‘부장급’위원장이라는 말을 할 정도로 그 위상이 떨어진 상황이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사측과의 관계를 바로잡는 것이 큰 목표이다.

그리고 또 공감했던 점이 노동조건을 개선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지금 건강보험공단 조합원들은 국민연금공단보다 더 큰 조직임에도 불구하고 더 낮은 임금을 받고 있다. 그리고 전 직원의 75% 가량이 승진을 못한 채 퇴직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조건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급단체 결정은 5월 쯤 투표를 진행할 계획이다. 그리고 투표일 2개월 전부터 정확한 일정을 알려 조합원들이 충분한 고민을 거쳐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 1만 조직의 위상에 걸맞게 시민사회단체, 정치권 등을 망라한 사회보장제도 연구소를 설립하는 게 어떨까 하는 계획을 갖고 있다. 전문가, 학자, 정치인들을 위원으로 위촉해서 국가의 사회보장제도가 크게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해 일조를 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