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변화, 노조도 발 빠른 대비 필요해
자동차산업변화, 노조도 발 빠른 대비 필요해
  • 이동희 기자
  • 승인 2017.08.01 16:37
  • 수정 0000.00.0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속노조, 자율주행과 모빌리티 서비스의 등장에 미래전략대책위 준비

자율주행과 모빌리티 서비스에 따른 자동차산업 변화에 관련 노동조합도 적극적으로 대비책을 마련해야 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성혁 금속연구원은 '자율주행과 모빌리티 서비스로 변화하는 자동차산업' 보고서를 통해 미래자동차의 도입으로 자동차산업과 교통시스템 전반에 커다란 변화가 다가오고 있다고 전하며 기술 변화는 사회적 주체들의 대응을 통해서 제도화되므로 여러 이해 관계자와 노동조합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먼 미래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였던 자율주행이 320만 km를 시범주행한 구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용화 시기가 가시화되고 있다.

김 연구원은 "자율주행은 연 120만 명이 사망하는 교통사고와 도심의 교통체증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운전을 할 수 없는 취약 계층들이 차량을 이용할 수 있어 교통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자율주행 2~3단계가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고 운전자 보조를 위한 ▲자동긴급제동장치 ▲차선이탈방지경고시스템 ▲졸음운전방지경고시스템 등이 주요국가에서 2018년부터 안전규제 강화로 의무화될 예정이다.

<자율주행 단계>
- 0단계 : 기계의 개입이 없이 사람이 운전
- 1단계 : 때때로 자동화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사람이 운전
- 2단계 : 자동화 시스템이 주로 운전하지만 사람의 모니터링 필요
- 3단계 : 자동화 시스템이 운전하며 부분적인 모니터링까지 가능
- 4단계 : 특정 상황에서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모든 제어 활동 가능
- 5단계 : 완전 자동 운행 시스템(운전자 불필요)

또한 생산과 판매 위주였던 자동차산업(제조업)이 모빌리티(다양한 이동성 사업) 서비스산업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도 변화 중 하나다.

모빌리티는 다양한 형태로 이동수단과 공간을 제공하거나 이동하는 동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 모빌리티 시장은 크게 카셰어링과 카헤일링으로 나눌 수 있다. 카셰어링은 차가 필요할 때 빌리고 이용한 만큼 비용을 내는 서비스로 일종의 시간단위 렌터카서비스다. 카헤일링은 이동을 원하는 소비자와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실시간으로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의 2017년 정기보고서에 따르면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은 2030년 20조 원 규모로 성장할 예정이다. 이는 2013년과 비교해 12배 증가한 것으로, 차량으로 치면 신규 판매 10대 중 1대가 모빌리티 서비스에 쓰일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자율주행과 모빌리티 서비스에 발맞춰 노동조합의 적극적 개입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본 주도의 기술 변화를 단순한 거품으로 치부하고 방치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아무런 대응을 못하게 된다"며 "이렇게 되면 그동안 대부분의 노조들이 경험했듯이 문제가 발생한 후 구조조정 반대 투쟁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게 된다"고 덧붙였다.

다행히도 금속노조 현대기아차지부는 관련 논의를 진행할 수 있는 미래전략위원회가 단협으로 확보되어 있다. 금속노조 충남지부에서는 대응 정책을 마련하고자 미래전략위원회를 지부교섭으로 요구하고 있다.

금속노조는 자동차 분과 차원에서 교육과 토론 등을 진행하면서 하반기 미래전략대책위원회 구성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미래자동차 대응 관련 조합 중앙과 지부, 지회 차원에서 통일적인 대책 기구가 필요하며 이에 근거하여 정책 대응 강화, 교육과 토론, 내부 공감대와 방침 마련, 사회적 교섭 등을 유기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