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방비·물가 인상’ 부담 큰 서비스노동자 “실질임금 인상해야”
‘난방비·물가 인상’ 부담 큰 서비스노동자 “실질임금 인상해야”
  • 임혜진 기자
  • 승인 2023.03.16 16:20
  • 수정 2023.03.16 16: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비스연맹 정책연구원, 서비스노동자 1,056명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발표
“서비스노동자 대부분 저임금 노동자... 실질임금 인상으로 이들의 생계비 부담 덜어줘야”
서비스연맹은 16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저임금 서비스노동자 난방비 폭탄, 물가 인상 실태조사 발표 기자회견’을 열었다. ⓒ 참여와혁신 임혜진 기자 hjim@laborplus.co.kr
서비스연맹은 16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저임금 서비스노동자 난방비 폭탄, 물가 인상 실태조사 발표 기자회견’을 열었다. ⓒ 참여와혁신 임혜진 기자 hjim@laborplus.co.kr

서비스노동자들이 “최근 난방비 등 공공요금과 물가 인상으로 실질임금이 하락했다”며 “정부는 최저임금을 포함한 실질임금 인상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장했다. 

서비스연맹은 16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저임금 서비스노동자 난방비 폭탄, 물가 인상 실태조사 발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서비스연맹 정책연구원은 지난 2월 27일부터 3월 2일까지 돌봄전담사, 방과후강사, 예술강사, 요양보호사, 조리실무사, 마트판매원 등 서비스노동자 1,056명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월 평균소득 206만 원, 최저임금 수준
“작년 대비 20~30% 증가한 난방비 부담 크다” 

조사 결과 서비스노동자들의 월 평균소득은 약 206만 원으로 드러났다. 올해 최저시급 9,620원을 월급으로 환산한 금액 201만 580원에 가까운 수준이었다. 서비스연맹은 대부분의 서비스노동자들이 저임금 노동자로서 난방비를 포함한 물가 인상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서비스노동자들의 지난 1월 평균 난방비(도시가스, 등유 등)는 18만 3,000원으로 월 평균소득 9%에 달했다. 전년 동기 대비 올해 1~2월 난방비 변화를 묻는 질문에는 ‘20% 또는 30% 늘었다’고 50.2%가 답했다. ‘변화가 없거나 줄어들었다’는 응답자는 2.9%에 불과했다.

정민정 마트산업노동조합 위원장은 “올해 난방비가 올라 4시간마다 30분씩 보일러를 트는 등 작년보다 사용량을 줄였는데 난방비는 38% 증가했다. 그러나 월급은 최저임금 인상률 5%만큼 올랐다. 이 정도면 임금이 삭감됐다고 봐야 한다”며 “마트노동자들에게 최저임금은 가족의 생계가 달린 목숨줄이다. 죽지 않기 위해 최저임금 인상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서비스연맹은 16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저임금 서비스노동자 난방비 폭탄, 물가 인상 실태조사 발표 기자회견’을 열었다. ⓒ 참여와혁신 임혜진 기자 hjim@laborplus.co.kr
서비스연맹은 16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저임금 서비스노동자 난방비 폭탄, 물가 인상 실태조사 발표 기자회견’을 열었다. ⓒ 참여와혁신 임혜진 기자 hjim@laborplus.co.kr

소비 줄이고 일자리 추가로 구해
생계 유지하나 삶의 질은 악화돼

고물가·고금리로 인해 서비스노동자들은 소비를 줄이거나 일자리를 추가로 구하는 선택을 했다. 응답자 84.3%는 ‘생필품 가격이 올라 다른 소비를 줄이고 있다’고 했고, 11.7%는 ‘가계소득을 늘리려고 일자리를 추가로 구했다’고 답했다. 40%는 ‘물가 인상 이후 가계대출이 늘었다’고 답하기도 했다.

소비를 줄인 항목 1순위는 식료품·비주류 음료, 2순위는 공공요금(전기·수도·가스 등), 3순위는 문화·여가·여행 등으로 나타났다. 강은희 서비스연맹 정책연구원 원장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가장 필수적인 음식과 전기·수도·가스에 대한 비용부터 노동자들은 줄이고 있었다”며 “물가 인상이 소득 하위가구의 건강과 삶의 질을 악화시키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은희 원장은 물가 인상으로 생활의 변화가 생겼다고 밝힌 서비스노동자 사례도 발표했다. 그는 “대전시 유성구의 한 학교 예술강사는 월 평균소득 230만 원의 소득 15~20%를 난방비로 부담하고 있었다. 그는 가계소득을 늘리고자 일자리를 추가로 구했다고 응답했다. 또 경기도 성남시의 한 요양보호사는 월 평균소득 210만 원으로 작년 대비 난방비가 20% 증가해 가계대출이 늘어나 소비를 줄이고 있다고 했다”고 전했다.

서비스연맹은 r기자회견이 끝나고 정부에 실질임금 인상 대책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 참여와혁신 임혜진 기자 hjim@laborplus.co.kr
서비스연맹은 기자회견이 끝나고 정부에 실질임금 인상 대책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 참여와혁신 임혜진 기자 hjim@laborplus.co.kr

“물가 반영한 실질임금·최저임금 인상
저임금 노동자 위한 유일한 대책”

서비스노동자들은 물가 인상 대책 1순위로 ‘물가인상률을 반영한 실질임금 인상’을 꼽았다. 다음으로 2024년 최저임금 대폭 인상, 모든 국민에게 난방비 한시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은희 원장은 “윤석열 정부는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혁을 이야기하면서 최저임금 노동자의 임금 인상 관련 대책은 내놓고 있지 않다”며 “고물가·고금리로 고통받는 노동자들의 생계비 부담을 덜기 위한 실질임금, 최저임금 인상이 유일한 해결책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미향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위원장은 “학교비정규직 동료들로부터 ‘고지서 액수 앞자리를 확인하는 게 두렵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다. 물가 폭등, 공공요금 인상으로 손에 쥐는 월급이 얼마 되지 않기 때문”이라며 “경제위기의 책임과 고통을 노동자와 민중들에게 떠넘기면 안 된다. 이들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임금 인상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전지현 전국돌봄서비스노동조합 사무처장은 “돌봄노동자 대부분이 최저임금만 겨우 받는다. 근무 대기시간인 휴게시간, 이동시간은 임금을 받지 못하니 실질적으로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임금을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며 “국민들이 잘 살아갈 수 있도록 국가가 대책을 세워야 한다. 돌봄노동자들은 국가가 제대로 일하도록 최저임금 인상, 돌봄노동자 적정 임금 보장 등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기자회견이 끝나고 서비스연맹은 물가 인상으로 서비스노동자들이 고통받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실질임금 인상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미의 퍼포먼스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