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엔 조직화·교육 사업 주력
2015년엔 조직화·교육 사업 주력
  • 하승립 기자
  • 승인 2015.02.16 18:13
  • 수정 0000.00.0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다시 기본으로 돌아가서 초심 생각할 때
의장협, 조합원 목소리 반영해 ‘쓴소리’하는 조직
[사람] 이종호 한국노총 대전지역본부 의장

이종호 한국노총 대전지역본부 의장은 지난 2001년 의장 임기를 시작한 이후 올해로 14년차를 맞고 있는 베테랑이다. 택시 노동자 출신인 이 의장은 요즘 들어 고민이 많다. 대전지역 노동운동의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할 시점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 박상재 기자 sjpark@laborplus.co.kr
어느 지역이나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대전은 지역경제계와 노동계의 위기의식이 크다. 인근 충남과 충북 지역이 새로운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등 적극적인 지역산업 성장 정책을 펼치고 있는 상황에서, 대전에서는 계속 기업들의 역외 유출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이 지역을 떠난다는 것은 노동자들의 일자리가 그만큼 줄어든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노총 대전지역본부의 고민도 깊어지는 것이다.

“심지어는 대전 상공회의소 회장을 지낸 사람이 충북 음성지역으로 기업을 옮겼다. 대전시가 대덕 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IT산업을 육성한다고는 하지만, IT산업의 특성상 10~20명 규모의 소기업들이 많기 때문에 일자리 창출이나 노동조합 조직화 등과 연결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이종호 의장의 진단이다.

현재 대전지역은 조합원 4,800명 규모의 한국타이어노동조합 정도를 제외하고는 대규모 노조가 없다시피 하다. 나머지는 주로 택시, 버스 등의 조합원들이다. 그래도 이런 어려운 여건 속에서 조직화 사업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이 의장 취임 초기 12,000명 수준이었던 의무금 납부 조합원은 현재 18,000명까지 늘어났다. 호텔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산업 분야, 그리고 건설노조 등 미조직 사업장의 조직화가 이뤄졌기 때문이다.

조직화 사업은 노조 활동의 중심

“아무리 어렵다고 하더라도 조직화 사업은 노동조합 활동의 중심”이라는 것이 이종호 의장의 생각이다. 이 의장은 비정규직을 비롯해 지속적인 조직화에 초점을 맞추고 활동을 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전지역본부의 역량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부딪치는 또 하나의 난관은 공공부문 등 일부 산별·연맹의 경우 지역본부가 구성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럴 경우 지역 내에 해당 연맹의 여러 노조가 기업단위로 존재하게 되는데 대표성, 다른 연맹과의 형평성 등의 문제로 지역본부 활동이 쉽지 않다.

그래서 이 의장은 각 연맹들에 꾸준히 지역본부 설치를 요구하고 있다. 이런 활동을 통해 지역본부를 강화하는 것이 노동운동의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 이종호 의장의 생각이다.

대전지역의 경제상황과 노동조합 활동이 위축되다보니 재정적인 어려움도 겪고 있다. 하지만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교육사업에 대한 꾸준한 투자를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어렵더라도 소통의 장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교육이고, 따라서 교육의 양과 질 모두를 강화하겠다는 것이 2015년 주요 목표 중 하나다.

이종호 의장은 현재 한국노총 지역본부 의장협의회 회장직을 맡고 있다. 이 의장은 의장협의회에 대해 “일각에서는 노총 지도부의 활동에 딴지를 걸고 대립각을 세운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협의회의 역할은 내부에서 쓴소리를 할 수 있는 조직으로서 조합원들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의장은 2015년에 대해 “다시 기본을 생각할 때”라고 규정했다. “일반 사기업에 10여 년 다니다가 택시 노동자가 된 이후 처음 노동조합 활동을 시작할 때를 생각하면, 노동자에 대한, 불합리에 대한, 대우에 대한 저항이고 투쟁이었다”면서 “지금 다시 그 초심을 생각하면서 기본으로 돌아갈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