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노동자가 진단한 ‘저출생’ 해답은 “차별 없는 일터”
여성노동자가 진단한 ‘저출생’ 해답은 “차별 없는 일터”
  • 김온새봄 기자
  • 승인 2024.03.05 17:35
  • 수정 2024.03.05 17: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노총 여성노동자들, 제22대 국회에 여성 노동 정책 입안 촉구
“국회의원들이 성인지감수성 갖고 여성 문제 귀 기울여야”
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열린 ‘성평등사회 실현을 위한 한국노총 여성노동요구안 기자회견’에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 참여와혁신 천재율 기자 jycheon@laborplus.co.kr
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열린 ‘성평등사회 실현을 위한 한국노총 여성노동요구안 기자회견’에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 참여와혁신 천재율 기자 jycheon@laborplus.co.kr

한국노총 여성노동자들이 오는 3월 8일 여성의 날과 4월 10일 총선을 앞두고 성차별 없는 일터·사회를 만들라고 국회에 촉구했다.

한국노총과 한국노총 여성위원회는 5일 오전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 정문 앞에서 ‘성평등 사회 실현을 위한 한국노총 여성 노동 요구안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여성 대표성 확대로 (국회의원) 성별 균형 달성 △임금·채용·승진 차별 없는 공정 노동시장 실현 △함께 일하고 함께 돌보는 평등사회 구축 △폭력과 괴롭힘 없는 안전 일터 확보 등 4개 요구를 실현시키기 위한 정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정연실 한국노총 여성청년본부 본부장은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하고, 36일 앞으로 다가온 총선에서 선출될 제22대 국회의원들에게 여성 노동의 과제들에 관심을 가지고 입법 활동으로 이행할 것을 촉구하고자 기자회견을 연다”고 밝혔다.

한국노총 여성위원회는 “아이가 태어나지 않는 나라에 성장이 있을 수 없다”며 저출생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여성이 겪는 성차별·성폭력을 해소해 공정한 노동시장과 안전한 일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여성에게 전가되는 돌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장시간 노동을 근절하며 돌봄을 사회화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최미영 여성위원회 위원장은 채용·임금·승진 차별, 결혼·출산으로 인한 경력 단절, 가사·돌봄 부담 등 여러 문제를 겪는 여성노동자들의 현실이 곧 우리 사회 전체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최미영 상임부위원장은 “총선에서 선출될 국회의원들이 보다 높은 성인지감수성을 갖고 우리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 참여와혁신 천재율 기자 jycheon@laborplus.co.kr
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성평등사회 실현을 위한 한국노총 여성노동요구안 기자회견’이 개최됐다.  ⓒ 참여와혁신 천재율 기자 jycheon@laborplus.co.kr

현장 발언에 나선 곽현희 전국연대노조 콜센터본부 본부장은 “콜센터노동자와 같이 높은 역량과 전문성을 요구하는 일자리조차 노동의 가치를 훼손당하는 비정규 여성노동자들이 많다”고 말했다. 곽현희 본부장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업종별로 표준 노임 단가를 책정해 여성·비정규 노동자들이 받는 임금차별을 개선하고 노동의 가치가 존중될 수 있도록 사회적 인식을 바꾸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권미경 의료노련 세브란스병원노조 위원장은 “24시간 운영되는 대형 병원의 여성노동자들 가운데는 출산 후 아이의 초등학교 입학을 전후해 일터를 떠나는 노동자들이 많다”고 했다. 높은 업무강도뿐만이 아니라 일·가정 양립이 어려워 여성노동자들의 경력이 끊긴다는 것이다.

권미경 위원장은 “저출생·고령화 문제는 결국 일·가정 양립과 돌봄의 문제”라며 “영유아와 초등학생 돌봄, 가족 돌봄, 육아휴직·출산휴가 등 돌봄 정책과 제도가 확충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한편으로는 “돌봄을 사회적으로 책임질 수 있게 하기 위해 아이돌보미, 장애인활동지원사, 간병인 등 다양한 돌봄노동자들에 대한 법적 보호와 처우 개선 정책이 필요하다”고도 짚었다.

한편 한국노총은 지난 2월 29일 노동·시민사회단체들과 함께 주4일제 도입을, 이날 여성위원회와 여성 노동 정책을 요구한 데 이어 오는 6일에는 한국플랫폼프리랜서노동공제회와 플랫폼노동자·프리랜서를 비롯한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권리 보장 정책을 국회에 요구할 예정이다. 또 이달 중에 공공의료 인력 확대와 돌봄서비스 강화를 위한 사회 정책을 요구하는 등 다양한 단체와 연대하며 총선 전까지 정책 입안 요구를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