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졸속' 민영화 중단 요구
우리금융 '졸속' 민영화 중단 요구
  • 박종훈 기자
  • 승인 2012.04.27 14:51
  • 수정 0000.00.0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금융 민영화두고 금융노조 반발
매각 세 차례 무산, 임자가 없다?
ⓒ 금융노조

정부가 우리금융지주를 연내 민영화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에 대해 노동조합이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한국노총 금융노조 산하 35개 지부 대표자들이 참여하고 있는 '관치금융 철폐 및 메가뱅크 저지 공동투쟁본부(의장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 이하 공투본)'는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권 말 졸속적 민영화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우리금융지주의 민영화는 그동안 세 차례에 걸쳐 무산된 바 있다. 매각 금액이 최대 걸림돌이었다. 우리은행을 비롯해, 경남은행, 광주은행, 우리FIS 등의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는 대형 금융지주임을 감안하면 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지분(56.97%)과 경영권 프리미엄 등을 고려해 봤을 때 국내에서는 인수자가 여의치 않은 게 사실이다. 안대근 우리은행지부 공약 민영화추진본부 부위원장은 "대략 11조 정도의 액수가 소요된다고 봐야 한다"고 밝혔다.

그간 지분 매입이 유력하다고 회자되던 KB금융지주의 경우 어윤대 회장이 25일 "매입 여력이 없다"고 못을 박은 바 있다. 한편 이날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2012 한국 경제포럼' 석상에서 우리금융지주 매각과 관련해 "외국인들에게도 내국인과 동등한 입찰 기회를 주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금융위원회는 김 위원장의 발언을 두고 "원칙적인 부분에 대한 얘기"라고 해명하며 확대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노조는 "지난해 외환은행을 둘러싸고 논란거리였던 외국계 사모펀드 론스타의 악몽을 되풀이하자는 건가"며 반발하고 있다.

김 위원장을 비롯해 금융위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가 금융지주와 계열사를 포함한 '통 매각'을 고집하고 있다는 점도 우리금융 민영화각 난제인 부분이다.

공자위는 매각 절차가 대단히 복잡해지며 지방은행들의 경우 분리 매각할 경우 공적자금의 회수가 극대화 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이 불명확하기 때문에 이미 두 차례에 걸쳐 매각을 중지한 바 있다.

공자위는 "27일 우리금융의 민영화에 대한 절차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금융노조는 우리금융 민영화와 관련해 '독자생존 민영화'를 기반으로 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과거 포스코와 KT의 민영화 과정에서 활용된 '국민주 방식'으로 30%에 달하는 지분을 매각하고, 우리금융지주 직원들을 상대로 5%의 지분은 우리사주로 매입하며, 이를 제외한 정부 소유 지분인 약 22%는 블록딜 방식으로 시중에 매각하자는 것이다.

또한 광주은행이나 경남은행의 경우, 지역 상공인들과 독자생존 방안을 충분히 준비해 왔으므로 분리매각이 적합하다고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