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렘’과 ‘호기심’은 어느덧 ‘지루함’으로
‘설렘’과 ‘호기심’은 어느덧 ‘지루함’으로
  • 박인희 기자
  • 승인 2007.07.10 00:00
  • 수정 0000.00.0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간 특집Ⅴ]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을 가다 ② 현장체험기1
단순 반복 노동 속에서 그들은 지금 무엇을 꿈꾸는가?

‘체험’이란 자기가 몸소 겪은 경험을 말한다. 세상에는 자신이 직접 체험해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것들이 많다. 하지만 우리가 사는 세상은 눈에 보이는 현상만을 가지고 내린 섣부른 판단들이 넘쳐난다. ‘귀족노동자’ ‘이기적인 노조’라는 시선에 갇힌 현대자동차 노동자들. 그들을 둘러싼 수많은 시선들은 잠시 제쳐두고 짧은 시간이지만 현대자동차 생산직 노동자들의 노동을 체험했다. 

 

ⓒ 이현석 기자 hslee@laborplus.co.kr

 

UPH 52, 여기는 현대자동차입니다

 

현대자동차 현장체험이 예정된 날. 등에 ‘현장실습’이란 글자가 새겨진 유난히 눈에 띄는 노란색 작업 조끼를 입고 공장으로 들어섰다. 넓은 공장 내부에 10여 미터가 넘는 컨베이어벨트가 펼쳐져 있는 이곳은 자동차 조립라인 중 파이널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차체제작과 도장작업을 마친 차들의 마지막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벨트 위에는 길게 늘어선 차들이 쉴 새 없이 밀려들어오고 있었다. 지금껏 한번도 해보지 않은 일을 접해본다는 호기심과 말로만 듣던 컨베이어시스템을 접해볼 수 있다는 설렘을 안고 컨베이어벨트 위에 올랐다.
 

파이널공정 전체로 사람들이 노란조끼를 입고 뿔뿔이 흩어진 가운데 자동차 핸들을 고정시키는 나사를 조이고 방수마개를 끼우는 작업을 맡게 됐다. 오늘 작업을 지도해 줄 ‘사수’는 현장경력 5년 차. 작업 설명과 더불어 실수의 뒤처리까지 맡느라 다른 때보다 바빠진 듯 했다.

 

핸들을 고정시키는 나사가 위치한 곳은 자동차의 브레이크가 위치한 밑바닥. 나사가 핸들과 연결되어 있어 나사에 이상이 생기면 핸들 작동에 문제가 생겨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작업이다. 연장을 이용해 나사를 조이면 나사 위에 빨간 도장이 찍힌다. “빨간색은 이제 검사를 마쳤다는 증거에요. 차를 보면 알겠지만 파란 나사도 있고 노란 나사도 있는데 빨간 나사는 생명과 연결되어 있기에 더 조심하셔야 해요.”

 

차내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차 중간에 파인 홈에 고무로 된 방수마개를 끼우는 작업도 함께 했다. 이 작업 또한 간단하지만 중요한 작업.

 

차 안으로 몸을 밀어 넣고 몸을 최대한 낮춰야만 바닥에 위치한 나사를 조일 수 있었다. 한두 번 반복하다 보니 자세가 불편했는지 점점 다리가 저려왔다. 결국 그냥 바닥에 주저앉아버렸다. 하지만 앉은 자세로는 연장과 나사의 구멍을 맞추기가 여간 어렵지 않았다. 그런 내 모습을 뒤에서 지켜보던 사수가 “앉아서 하면 나사 안 맞춰질 걸요. 일어나세요”라고 한마디 던졌다. “아, 네” 대답과 함께 다시 일어나 차 안으로 몸을 밀어 넣고 허리만 구부린 채 나사를 조이는 작업을 이어갔다.

 

특별한 기술을 요구하는 작업이기보다는 작업자의 ‘감’이 요구되는 듯 했다. 처음에는 나사를 돌려야 한다는 생각에 온 힘을 다했다. 하지만 뒤에서 지켜보던 사수는 그런 모습이 마땅치 않았는지 다시 시범을 보이겠다며 연장을 들었다.

 

“그게 아니라, 잘 보세요. 나사를 힘줘 여러 번 돌리는 것이 아니라 한두 번만 돌리면 ‘딸각’ 소리가 나잖아요. 이 소리만 들리면 그만 돌리면 돼요. 힘으로 억지로 돌리려고 하지 말고 손목의 스냅을 이용해 돌려야 제대로 돌릴 수 있어요.”

 

하지만 그놈의 ‘딸각’ 소리는 좀처럼 들려오지 않았다. ‘왜 나만 안 되지?’라는 조바심에 죄 없는 나사만 또 여러 번 돌려댔다. 옆에서 지켜보던 작업자의 한마디 “그거 그렇게 여러 번 돌리면 안 되는데… 그렇게 배웠어요?”라며 사수를 찾는지 두리번거렸다.  

 

1시간쯤 지났을까. 조금씩 힘조절이 되고 학수고대하던 ‘딸각’ 소리가 들려오기 시작했다. 그땐 귓가에 울리는 경쾌한 ‘딸각’ 소리가 ‘희망의 소리’로 들렸다.

 

ⓒ 이현석 기자 hslee@laborplus.co.kr

 

사람 아닌 ‘차’를 위한 환경


일이 익숙해지자 그제서야 주변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눈에 들어왔다. 승용 제1공장은 UPH(Units Per Hour)가 52다. 1시간당 52대의 차가 생산된다는 뜻이다. 차량이 들어오면 3~5명의 작업자가 자신이 맡은 부분을 작업한다. 한 대당 작업 속도는 대개 1분 미만이고 한꺼번에 여러 대의 차량 작업을 마친 후 자기 앞에 다음 차가 들어올 때까지 4~5분 정도 휴식을 취할 수 있다고 한다. 그 틈을 이용해 옆에 놓인 의자에서 신문을 읽거나 휴대폰으로 DMB를 보는 사람들도 있었다.


작업을 함께 한 사수에게 ‘귀족노동자’라는 외부의 시선이 불편하지 않냐고 묻자, “5년차인데 특근(주말 근무)을 1달에 2번은 해야 연봉 4000만원 정도 받아요. 안 그래도 파업 많이 해서 주위사람들도 다 안 좋게 보는데 집에서는 파업할 때 절대 앞에 나가지 말라고 하세요. 우린 그래도 괜찮죠. 업체(비정규직) 사람들은 똑같이 일하고 돈은 반만 받으니까 같이 일하고 있어도 불쌍해요”란 말이 되돌아온다.


시간이 흐르고 컨베이어벨트에 올라타고 내리기를 여러 번 반복하자 갑자기 현기증이 느껴졌다. 다른 작업자들은 괜찮은 걸까? “이제 익숙해져서 잘 모르겠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일한지 3년 됐는데 아직도 어지러워 멀미약 먹기도 하고 귀에도 약 붙여가면서 한다”며 여전한 어지럼증을 호소했다. 많은 사람들이 어지럼증 때문에 멀미약을 먹어가면서 일하고 있다고 전했다.


공장 안은 온갖 기계소리와 음악소리가 함께 뒤엉켜 있었다. 옆 사람의 말소리도 잘 들리지 않아 목소리를 높여야 했다. 그러다보니 노동자들 중에는 소음 때문에 귀마개를 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여기저기서 소리들이 쉴 새 없이 들리니까 귀마개를 해야 해. 지금은 아무 이상 없는 것 같지만 늙으면 분명히 이상 생길 거야.”


작업을 잠시 멈추고 잠시 둘러본 공장 안은 자동차를 생산하기에는 알맞은 듯 보였지만, 수 년에서 수십 년 동안 노동을 하며 지내기엔 너무도 잔인한 공간으로 보였다.

 

익숙함을 넘어 지루함이 일상으로

 

작업이 조금 손에 익자 옆 사람들의 작업이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보닛에서 작업하고 있는 사람에게 무슨 작업을 하는지 묻자 “호스 끼우는 거야. 한번 해 볼래요?”라며 새로운 작업을 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선뜻 제공해줬다.


일을 맡기고 잠시 쉬어보겠다는 심산은 아닌 듯 했다. 오히려 외부에서 온 사람에게 조금이라도 자신들의 일을 보여주고 조금이라도 이해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느껴졌다. 간단해 보여서 해보겠다고 나섰지만 호스가 좀처럼 끝까지 끼워지지 않았다. 등 뒤로 “우리 정년이 55세, 56세인데 이 짓을 평생한다고 생각해봐요”라는 씁쓸한 말이 들려왔다. “지겨워도 어째요. 먹고 살아야죠 지겨워도 안 할 수 있나”라는 체념 섞인 말에 공장 안이 갑갑하게 느껴졌다.


처음 자동차 내부를 보는 거라 모든 게 신기하게만 느껴졌다. 기어 나사를 박는 작업을 하는 사람에게 지금 하는 작업이 어떤 작업인지 부품 이름이 뭔지 물었다. 하지만 “내가 여기서 일한지 10년이 다 되어 가지만 다 자기가 하는 일만 알고 남들이 무슨 작업을 하는 지 잘 몰라요”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옆에서 일하던 다른 사람이 “그런 건 알아서 뭐하게요? 여기서 오래 일한 사람들은 서로 이름이라도 다 알지만 잘 모르는 사람도 많아요. 특히 업체에서 나온 사람이 더욱 심해요. 우린 로봇”이라고 한마디 덧붙였다.
 

반복되는 작업에 점점 지루함이 밀려오고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려 이제 앉아서 쉬기 바빠졌다. 처음 작업을 시작하며 ‘할만한데’라고 했던 생각이 지루함으로 바뀌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3~4시간 만에 생각이 바뀌고 있었다. 작업을 배워 그 작업에서 재미를 느끼기에는 작업이 너무나 단순하고 반복적이었다.

 

눈앞에 자동차가 들어오면 또다시 무릎을 굽히고 허리를 숙여 나사를 조이면 그 뿐이었다. 차들이 쉴 새 없이 밀려오는 가운데 비슷한 장면이 눈앞에 펼쳐지고 사람들은 똑같은 동작을 반복하고 있었다. 컨베이어벨트는 변화를 인정하지 않는 듯 했다. 익숙함을 넘어 밀려오는 지루함으로 시계 보는 횟수만 점점 늘어났다.

 

ⓒ 이현석 기자 hslee@laborplus.co.kr

 

컨베이어벨트는 오늘도 돌아간다
 

짧은 체험은 구내식당에서의 점심식사로 마무리 됐다. 작업을 분업화 시켜 편리한 대량생산을 가능케 한 컨베이어벨트는 식당까지 점령해 식판까지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있었다. 하지만 이미 노동자들에게 컨베이어벨트는 익숙한 존재인 것 같았다. 기계적으로 줄을 서서 컨베이어벨트에서 식판을 받아가는 그 모든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같이 작업을 하고 점심을 먹었던 사람들이 주말에 회를 먹으러 가자는 등의 이야기꽃을 피우는 모습이 체험하는 동안 보았던 거의 유일무이한 변화였다.

 

과연 컨베이어벨트는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의미일까? 세상에 편하고 즐겁기만 한 일은 없겠지만 컨베이어벨트는 설렘과 호기심까지도 순식간에 차갑게 식게 만들어 버렸다.

 

긴 시간 동안 같은 동작으로 같은 모습만 바라보며 일하는 자동차공장의 노동자들. 한쪽에서는 자신들을 가리켜 ‘로봇’이라 하고, 다른 쪽에서는 “그래도 자부심을 갖고 일한다”고 말한다. 그것이 자신들이 일하는 작업장에 대한 그들의 생각이다. 하지만 세상은 그들의 이야기는 듣지 않은 채 그들을 향해서 수많은 이야기들을 쏟아내고 있다.

 

오늘도 가족을 떠올리며 귀마개를 꽂고 멀미약을 먹어가며 컨베이어벨트에 올라 고단한 하루를 보내는 그들 또한 한 가정의 가장이었다. 지루한 작업 속 노동의 즐거움 보다는 생계를 위해 야근에 특근까지 해야 세상이 말하는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는 ‘귀족노동자’. 지구 역사상 세상 그 어느 곳에 이렇게 힘들고 어렵게 사는 ‘귀족’이 있을까? 그들 또한 일한만큼만 보상받기를 원하는 오늘을 살아가는 평범한 노동자일 뿐이었다.

 

오늘을 살아내기 위해 그들은 주말에도, 밤에도 컨베이어벨트에 오를 것이고, 그런 그들이 있기에 컨베이어벨트는 오늘도 돌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