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박싱] 이 주의 키워드 : 거리
[언박싱] 이 주의 키워드 : 거리
  • 박완순 기자
  • 승인 2019.10.26 14:51
  • 수정 2019.10.26 17: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힌트 : #원거리발령 #컨테이너숙소 #감정노동자보호법 #입시비리의혹

요즘 언박싱(unboxing) 영상이 유행입니다. 언박싱은 구매한 상품의 상자를 여는 과정을 의미하는데요. 시청자들은 영상을 보면서 어떤 상품이 나올지 기대하고 상품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재미를 얻습니다.

한 주간 <참여와혁신>에서 나온 기사들을 관통하는 키워드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지금부터 키워드 언박싱 시작합니다.

24일 청와대 앞에서 원거리 발령과 숙소 문제를 지적하는 기자회견에 참석한 민주일반연맹 조합원들. ⓒ 참여와혁신 정다솜 기자 dsjeong@laborplus.co.kr
24일 청와대 앞에서 원거리 발령과 숙소 문제를 지적하는 기자회견에 참석한 민주일반연맹 조합원들. ⓒ 참여와혁신 정다솜 기자 dsjeong@laborplus.co.kr

이 주의 키워드 : 거리

10월 22일부터 10월 25일까지 <참여와혁신>이 쓴 다양한 기사를 ‘거리’라는 키워드로 묶어봤습니다.

‘거리’의 의미는 다양합니다. 여러 의미 중 ‘간격’을 나타내는 ‘거리’의 의미에 주목해봤습니다. <참여와혁신>이 만난 노동자들은 육체적 거리와 심리적 거리, 두 가지로 비롯한 문제에 봉착해 거리로 나왔습니다. 누군가는 원거리 발령으로 인사차별을 받고 숙소마저 제대로 제공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누군가는 감정노동의 고통으로부터 멀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누군가는 특혜 때문에 상실이라는 감정적 거리감을 느꼈고요.

[10월 24일] 톨게이트 수납원 “집은 안산인데 대관령 발령”
대법원은 도로공사가 외주용역업체 소속이던 톨게이트 요금수납원을 직접 고용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승소한 요금수납노동자들은 도로공사의 직무교육을 거쳐 업무배치를 받게 됐습니다.

그러나 민주노총 소속 대법판결 승소 요금수납노동자들은 도로공사의 발령을 문제 삼았습니다. 준비되지 않은 원거리 발령 조치가 이유인데요. 조합원인 서순분 씨는 “집이 안산인데 대관령으로 발령받았다”며 원거리 발령 조치를 비판했습니다.

먼 거리도 문제지만 숙소 문제도 심각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노조는 “임시로 컨테이너에서, 지사 내부의 휴식공간인 대기실에서 생활하라는 답변이 돌아왔다”며 대책 없는 발령이라는 입장이죠.

한편 도로공사는 “정규직과 동일한 기준으로 배치했다”고 전했습니다. 숙소의 경우 미비했다는 것을 인정하기도 했고요. 이런 상황에서 도로공사의 향후 대응이 주목됩니다.

대법 승소 판결을 받기까지 2013년부터 2019년까지 먼 거리를 달려온 노동자들과 직접고용을 한 도로공사의 심적 거리는 언제 좁혀질까요.

[10월 24일] 법 시행 1년, 현장 노동자 절반은 “감정노동자 보호법 잘 몰라”
감정노동전국네트워크가 2019년 감정노동 및 직장 내 괴롭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병원, 백화점, 콜센터, 정부기과, 가전 및 인터넷 설치 업체 등에 직간접적으로 고객을 응대하는 노동자 2,76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고요.

실태조사 결과, 감정노동자 보호법 시행 후에도 감정노동자가 겪는 일터에서 고통은 여전했습니다. 무엇보다도 주목할 만한 응답이 있었습니다. 거의 모든 응답자가 감정노동을 알고 있지만 감정노동자 보호 절차에 대해서는 절반이 모른다고 대답했습니다. 10개 중 7개 사업장은 감정노동 중 피해 발생시 피할 권리나 치유프로그램 제공, 법률지원 매뉴얼 교육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요.

감정노동 중 피해 발생시에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취해야 할 것은 가해 고객으로부터 거리를 유지하고 분리시키는 것이죠. 밖으로 보이는 육체적 상처는 대부분 바로 노동 중단과 치료로 이어지지만 심리적 상처는 보이지 않아 그렇지 쉽지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2차, 3차 피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감정노동네트워크는 감정노동자 보호법이 잘 시행되기 위해 사업주가 관심을 가져야 하고 고용노동부의 관리감독이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10월 24일] 전교조, ‘특권층 자녀 입시부정 의혹’ 나경원 대표 등 고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와 김재호 동아일보 사장, 김승유 전 하나금융지주 회장의 자녀 ‘입시비리 의혹’을 제기하며 이들을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습니다.

전교조는 “특권층의 ‘카르텔’에 국민은 큰 상실과 분노를 느낀다”며 검찰에 수사를 촉구했습니다. 교육으로도 격차가 해소되지 않는다는 국민들이 느끼는 거리감은 상실감과 분노를 만들었다는 것인데요. 여러모로 자녀 특혜와 관련한 사회적 이슈들이 터져 나온 현재, 교육을 통한 계층 이동 사다리도 걷어차진 것 같습니다.

한편, 동아일보측은 "'동아일보 사장 딸의 자사고 입학 과정'과 관련한 의혹은 명백한 허위사실로 2016년 검찰에서 무혐의 불기소 처분을 내렸고, 서울고검이 항소 기각한 사안"이라며 "전교조가 근거 없이 무리하게 주장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혀왔습니다.

혹시 ‘거리’로 묶은 세 기사를 읽고 거리감을 느끼셨나요? 아니면 너무 가까워서 나의 이야기처럼 들리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