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중·대조 합병심사 2년째 ‘지지부진’, 더 기다려야 하나?
현중·대조 합병심사 2년째 ‘지지부진’, 더 기다려야 하나?
  • 손광모 기자
  • 승인 2021.01.28 18:55
  • 수정 2021.01.28 18: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엇갈리는 합병 예상 효과 … 시너지 효과? 경쟁력 악화?
금속노조, “인수합병, 국내 조선산업 몰락으로 이끌어”
28일 오전 11시 청와대 앞에서 진행된 ‘문재인 정부 대우조선 특혜매각 발표 2년, 조선산업 발전 전망 없는 반노동, 친재벌 정책 규탄 전국동시다발 기자회견’ 현장 ⓒ 참여와혁신 강민석 기자 mskang@laborplus.co.kr

산업은행은 22일 한국조선해양과의 현물출자 및 투자계약 기한을 오는 6월 30일까지로 연장했다. 6개국 기업결합승인 심사로 2년째 지연되고 있는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 합병을 변함없이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금속노조는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의 인수합병 결과가 시너지보다는 한국 조선산업의 경쟁력 악화를 가져올 것이라 비판했다.

금속노조 대우조선지회(지회장 신상기)는 28일 오전 11시 청와대, 경남도청, 거제시청 앞에서 ‘문재인 정부 대우조선 특혜매각 발표 2년, 조선산업 발전 전망 없는 반노동, 친재벌 정책 규탄 전국동시다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한국조선해양은 현대중공업그룹의 중간지주회사다. 현대중공업그룹은 2019년 1월 31일 대우조선해양 인수의향을 발표했다. 발표 당시 현대중공업그룹은 그룹사 구조 개편을 함께 내걸었다. 현대중공업을 물적분할해 투자부문은 중간지주회사인 한국조선해양으로 재편하고, 사업부문은 한국조선해양의 자회사인 현대중공업으로 두는 방안이다.

여기서 대우조선해양과의 합병은 한국조선해양 차원에서 진행된다. 한국조선해양의 자회사로 대우조선해양이 들어가는 모양새다. 합병 시 한국조선해양은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 중·대형 조선소를 거느리는 거대 조선지주회사가 된다.

현대중공업은 2019년 5월 31일 주주총회에서 물적분할 계획을 통과시켰다. 당시 물적분할 및 대우조선해양과의 합병에 반대한 금속노조 현대중공업지부는 주주총회 장소로 예정돼 있던 울산 동구 한마음회관을 점거하여 농성을 벌였다. 하지만,현대중공업은 주주총회 당일 장소를 변경해 총회를 추진했다.

현재 한국조선해양의 대우조선해양 합병은 2019년 7월부터 이해당사자 6개국(카자흐스탄, 싱가포르, 중국, 일본, 유럽, 한국)의 기업결합심사를 거치고 있다. 세계 조선업계에서도 1, 2위로 꼽히는 두 기업의 합병이기에 독과점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두 회사의 합병 시 전 세계 조선산업 시장의 21%를 점유할 것으로 예상된다.

6개국 중 카자흐스탄(2019년 10월), 싱가포르(2020년 8월), 중국(2020년 12월)은 합병에 찬성했다. 쟁점은 유럽연합이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지난해 세 차례나 결과 발표를 미룬 바 있다. 유럽연합은 두 회사의 합병으로 초대형유조선(Very Large Crude oil Carrier, VLCC), 가스선, 초대형 컨테이너선(네오파나막스급) 분야에서 독점적 지배력을 가질 수도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실제로 2019년 11월 수주잔량을 기준으로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VLCC 부문 점유율은 52.7%였고, 가스선 부문은 57.5%(LNG 45.9%, LPG 36.8%), 초대형 컨테이너선 부문은 45.9%를 기록했다.

ⓒ 참여와혁신 강민석 기자 mskang@laborplus.co.kr

합병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의견이 분분한 상태다. 합병에 대해서 긍정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는 쪽은 규모의 경제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연구개발(R&D) 통합 ▲중복 투자 제거 ▲VLCC·LNG·방산 분야 등 고도화 ▲경쟁으로 인한 저가 수주 문제 해결 등이다.

반면, 합병 효과에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쪽은 통합에서 시너지 효과보다는 구조조정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합병 후 회사가 맡게 될 물량이 그동안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이 각각 책임지던 물량의 합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특히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에서 기업결합을 승인하는 조건으로 ‘생산물량 조정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커 합병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보다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금속노조 대우조선지회는 “문재인 정부는 국내 조선산업 발전을 위한 대승적 결단이라며 대우조선 민영화를 발표했다. 그러나 현대중공업과의 합병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는 전무했다”면서, “오히려 현대재벌 체제로 인한 기자재 업체의 줄도산과 남해안 벨트 붕괴, 국내 조선산업의 동반 몰락으로 귀결되는 잘못된 정책이었다”고 비판했다.

대우조선지회는 이어 “합병 후 사업의 대폭 축소와 통폐합으로 노동자의 생존권과 지역경제, 국가 조선산업의 몰락은 기정사실”이라면서, “시급한 과제는 대우조선과의 합병이 아닌 군산 조선소의 재가동”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2008년 조성된 현대중공업 군산 조선소는 2017년 수주물량 감소로 운영이 중단됐다. 현재 시설물 정비를 위한 인력만 남겨둔 상태다. 현대중공업은 지역사회에 여러 차례 군산 조선소 재가동 의지를 내비쳤으나 아직 감감무소식인 상태다.


관련기사